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62 No.4 pp.371-384
DOI : https://doi.org/10.5656/KSAE.2023.11.0.045

Occurrence of Insect Pests from Street Trees in Six Urban and Suburban Parks of Honam Region, South Korea

Jongok Lim1,2, Haneul Yu1, Jeongwoon Won1, Seokmoo Kang1, Suyeon Shin1, Yonghwan Park3*, Chansik Jung3
1Department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Wonkwang University, Iksan 54538, Korea
2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 Iksan 54538, Korea
3Forest Entomology and Path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Corresponding author:parkyonghwan@korea.kr
August 29, 2023 November 9, 2023 November 28, 2023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on street trees that were planted or naturally grew in a total of six urban and suburban parks (two sites in Iksan, one site in Gimje and three sites in Gwangju) in Honam region, South Korea from May to September, 2022. The six survey sites are divided into three characters, two ‘nearby forest (NF)’, two ‘nearby river (NR)’ and two ‘nearby downtown (ND)’ according to the created location of sites and the results on fauna of insect pests compared with street tree species for each character of survey sites. As results, we could discover 51 species of 49 genera in 27 families belonging to five insect orders from a total of 21 tree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in six survey sites. Among the insect taxa, hemipteran pests are most diverse with 22 species of 20 genera in 12 families and it is confirmed that Prunus × yedoensis Matsum. (Rosaceae) is damaged by most diverse 25 insect pests. With regard to character of survey sites, trees in ‘nearby river’ were affected by most diverse 34 insect pests, even though tree species were few compare to sites of ‘nearby forest’ and ‘nearby downtown. Among the affected area of tree parts, leaf-feeding insect pests are most diverse with 22 species. From the present study, we provided a checklist of insect pests from the street trees and selected six most concerned species. Indeed, it is needed to conduct sustainable surveys and monitoring on occurrence of insect pests from street trees in urban and suburban parks because the species of planted street trees in parks can be extremely diverse with occurrence of unexpected insect pests.



호남권 내 6개 지역에서의 도심 및 교외 수목 해충 발생 양상

임종옥1,2, 유하늘1, 원정운1, 강석무1, 신수연1, 박용환3*, 정찬식3
1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2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3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초록


도심과 교외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수목의 해충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전남 및 전북 내 총 6개소(전북 익산 2개소, 김제 1개소, 광주 3개소)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6개소는 조사지역(공원)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산림인접지역, 수변지 역, 도심지역 세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 지역에 따라 확인되는 해충의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6개소의 조사지역에서 총 5 목 27과 49속 51종의 해충 분류군이 총 13과 21종의 주요 가로수종으로부터 확인되었다. 해충 분류군 중에서 노린재목이 12과 20속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가로수 수종에서는 왕벚나무가 25종의 가장 다양한 해충의 피해를 입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 특성별 비 교를 하였을 때, 수변지역 공원에 식재 또는 자생하는 수종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산림인접지역과 도심지역 공원에 비해서 가장 많은 해충 종 수 를 확인하였다. 해충이 가해하는 부위로는 잎을 가해하는 해충이 총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본 조사를 통해 확보한 각 가로수 수종에 발생하는 해 충의 분류군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 중에서 피해가 심한 6종을 선정하였다.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지역에서의 다양한 가로수 분포 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목 해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해충 발생 양상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가로수’란 ‘우리 생활 주변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녹 지’로서 ‘국토 녹화, 경관 조성, 공해 방지 등을 위하여 시가지, 전원, 산간, 해안, 강변 지역의 가로수와 노변에 조화있게 식재 하는 나무’를 의미하고, 도시 경관과 생활환경 개선 효과가 크 고 탄소 흡수, 미세먼지 저감 등 도시숲의 핵심 요소이다(Korea Forest Service, 2020).

    특히, 도시녹지 중 도시의 가로수는 기후조절 효과 및 대기 오염 정화 효과 등을 가질 뿐 아니라 도심지 내에 녹색을 도입 하고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며 도시 녹지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 선상 연결 녹지축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Sung and Min, 2003),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에는 열섬 완화, 대기오염물질 제거, 많은 공기 제공, 다양한 혜택(생물다양성 보전, 경관 창출, 수자원 보 호, 에너지 보전 등)이 해당한다(Park et al., 2022).

    Blakemore (2022)는 미국 내 가로수 중 1.4백만 그루 이상이 2050년까지 곤충에 의해서 없어질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고, 전 세계적으로 각 국가에서는 녹지 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해충 과 수목병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 은 연구결과들이 논문으로 발표되고 있다(Tubby and Webber, 2010). 특히, 미국의 남부 주에서는 식재된 가로수 중 12속 수 종에 발생하는 절지동물 해충의 피해 양상을 흡즙성 등 7가지 의 범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각 해충에 대한 동정방법을 제시하고 있다(Frank, 2019).

    도심의 온화현상으로 인하여 가로수에 발생하는 해충의 피 해가 더욱 극심해 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러한 열섬 효 과(urban heat island effect)는 식물들의 면적 감소가 주요 요인 으로 분석되고 있는 현실이다(Meineke et al., 2016). 또한, 유럽 의 국가들내에서의 연구로 도심의 가로수가 비 토착 산림해충 의 안착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Branco et al., 2019).

    국내 가로수의 해충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 이 되어 주로 가로수 수종을 가해하는 일부 외래해충 또는 토착 해충에 대해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가로수를 포함한 조경 수 해충에 대한 연구도 역시 1990년대 후반부터 중심으로 본격 적으로 이루어졌는데 「한국조경수협회」를 중심으로 해마다 가 로수 또는 조경수의 1종 또는 소수의 수종을 대상으로 하거나 해충의 과(family) 수준의 분류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추진한 바 있다(Lee, 1998; Kim and Kil, 2014).

    최근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1)에서는 생활 권 내 주요 수목의 노린재목 해충 피해와 생태 특성 조사를 통 해 소나무류, 벚나무류, 단풍나무류, 철쭉(진달래)류를 기주식 물로 하는 노린재목 해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Ahn et al. (2022)은 생활권 가로수를 기주로 하는 나비목 곤충의 발생 양 상을 연구한 바 있다.

    하지만, 국내 가로수의 약 23.8%가 집중되어 있는 전남을 포 함한 호남권 내의 주요 생활권 공원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수목의 해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현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권 지역에서 공원의 공간 특성별(수 변, 산림 인접, 도심 내)로 분포하는 가로수 수종, 각 주요 수종 을 가해하는 수목 해충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해충의 피해 현 황, 생태학적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생활권 내의 가로수 및 도 심공원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방제 방안 확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 현황

    국내 가로수는 총 9,444,829본이고 인구 천 명당 199그루인 것으로 집계된 바 있으며(Park et al., 2022), 이 중 약 23.8%인 2,264,098 그루가 전남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국내 가로수 분포 현황을 고려하여 본 조사는 호 남권 지역(전북 3개소, 전남 3개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6개소(전북 3개소, 광주 3개소)의 도심공원 중에서 각 공원 이 위치한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산림해충의 종 다양성과 발생 시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산림에 인접한 공원 2개소(광주 광주 호호수생태공원, 익산 서동공원), 수변 공원 2개소(광주 산동교 친수공원, 김제 백구소공원), 도심 내에 위치한 공원 2개소(광 주 풍암생활체육공원, 익산 중앙체육공원)에서 실시하였다 (Table 1, Fig. 1).

    조사 기간

    본 조사는 2022년 5월 12일부터 9월 16일까지 약 4개월 동안 각 조사지(광주호호수생태공원, 산동교친수공원, 풍암생활체 육공원, 서동공원, 백구소공원, 익산중앙체육공원)별로 각 8회 씩 실시하였고 자세한 조사일자는 Table 2와 같다.

    조사 방법

    가로수(기주식물) 수종 파악 및 발생 해충 조사

    각 조사지 내 산책로를 중심으로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가로 수 우점종을 대상으로 파악하였으며 각 종의 학명과 과명은 국가 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0)을 참고하였다.

    파악한 각 가로수의 부위(줄기, 가지, 잎, 종자)를 가해하고 있는 해충들을 육안으로 정성적이고 직접적인 조사를 수행하 였고 이들의 가해 양상을 가해 부위별로 구분, 조사 야장에 기 록하였다(Fig. 3A). 또한, 조사 과정 중 확인한 성충에 대해서는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시안화 칼륨(Potassium Cyanide) 을 이용하여 개체들을 확보하였다.

    조사지 현장의 각 가로수에서 미성숙단계(유충)로 확인된 개체들은 지퍼 백(Zipper bag) 또는 곤충 사육용 디쉬(100×40 mm, SPL No. 310102)에 일자와 기주식물 정보를 기록 및 저온 보관 후 원광대학교 곤충분류학 및 생태학 실험실로 옮겨와 실 험실 조건(24°C)에서 실내사육을 병행하여 우화하는 성충의 해충 종을 확인하였다(Fig. 3B).

    조사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전체 조사지에서 의 확인한 해충 종 목록, 가로수 수종별 확인한 해충 종, 조사지 특성(산림인접, 수변, 도심)별로 확인한 해충 종, 가해 부위(줄 기, 가지, 잎, 종자)별 해충 종을 작성 및 분석하였다.

    해충 피해 사진 촬영

    각 조사지에서 가로수 종별로 육안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확 인된 가해 해충을 디지털 카메라(Canon 6D Mark II)와 접사 렌 즈(Canon, Macro 100 mm)를 이용하여 각 종의 생태 사진과 기 주식물 가해 양상 사진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각 사진 자료들은 조사지, 기주식물, 해충 분류군별로 범주를 구분하여 분류, 관 리하였다.

    조사를 통해 확보한 모든 개체들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였 으며, 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곤충분류학 및 생태학 실험실 (W-LITE, Wonkwang University-Laboratory of Insect Taxonomy and Ecology)에 소장하였다.

    결 과

    조사지별 주요 식재 가로수 종

    총 6개소의 조사지(광주 3개소, 전북 김제 1개소, 익산 2개 소)에 자생 또는 식재되어 있는 가로수 종을 파악한 결과, 총 13 과 21종의 가로수 수종을 확인하였다(Table 3). 가로수 수종은 분류군을 각 과(family) 수준에서 보았을 때 장미과(Rosaceae) 4종, 느릅나무과(Ulmaceae) 3종,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소 나무과(Pinaceae), 버드나무과(Salicaceae) 각 2종, 단풍나무과 (Aceraceae), 층층나무과(Cornaceae), 측백나무과(Cupressaceae), 감나무과(Ebenaceae), 칠엽수과(Hippocastanaceae), 아 욱과(Malvaceae), 뽕나무과(Moraceae), 갈매나무과(Rhamnaceae) 각 1종 순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중에서 산림·수변·도심지역의 구분 없이 이팝나무 (물푸레나무과), 뽕나무(뽕나무과)가 조사지의 모든 지역에 공 통적으로 식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으로 느티나무 (느릅나무과), 단풍나무(단풍나무과), 왕벚나무(장미과)가 총 6 개소 중에서 4개소에 공통적으로 식재되거나 자생하고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공원의 위치적인 특성별로 보았을 때, 도심공원에 가장 다양 한 가로수 수종인 16종, 산림 인접공원 12종, 수변공원 9종의 수 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일반인들의 접근이 용 이하고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조경수로서 도심공원에 상 대적으로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각 주요 가로수 수종별 확인한 해충

    21종의 가로수에서 해충을 조사한 결과, 총 5목 27과 49속 51종이 확인되었다(Table 3). 이 중에서 종 수로 비교해 보았을 때 노린재목이 22종으로 전체의 43.1%를 차지하여 가장 다양 한 종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31.4%), 나비목(19.6%), 메뚜기목(3.9%), 벌목(2.0%) 순으로 확인되었 다(Fig. 4).

    21종의 가로수를 비교하였을 때 한 수종에서 10종 이상 확인 된 종으로는 왕벚나무에서 총 25종의 해충을 확인하였고, 6개 소의 모든 조사지에 공통적으로 자생 또는 식재되어 있는 이팝 나무에서 14종, 뽕나무에서 12종이 확인되었으며 조경수 또는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는 단풍나무에서도 10종이 확인되 었다(Fig. 5, Table 3).

    조사지역별로 확인된 해충의 종 수를 비교해 볼 때 산림 인 접지역인 광주호호수생태공원에서 총 8종의 가로수 수종에서 17종의 해충, 서동공원에서 총 8종의 가로수 수종에서 19종의 해충, 수변지역인 산동교친수공원에서 총 7종의 가로수 수종 에서 17종의 해충, 백구소공원에서 총 4종의 가로수 수종에서 25종 해충, 도심공원인 풍암생활체육공원에서 총 9종의 가로 수 수종에서 13종 해충, 익산 중앙체육공원에서 11종의 가로수 수종에서 9종 해충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별로 확인된 해충의 종수를 산림 인접, 수변, 도심 지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수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총 34종의 해충이 발견되었으며, 산림 인접지역에서 총 29종, 도심지역에서 총 16종의 해충 종이 발견된 것으로 요약할 수 있 다(Fig. 6).

    해충들이 가로수를 가해하는 부위에 대한 조사 결과를 분석 하였을 때,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이 22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가지·잎 가해 해충은 13종, 줄기 가해 해 충은 11종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Fig. 7, Table 4).

    확인된 가로수 주요 해충 종 및 특이 종 정보

    본 연구 과정 동안 확인된 다양한 해충 종 중에서 가로수 해 충으로서 큰 피해를 야기하고 있거나 추후 해충으로서 관리가 필요한 6종(두점알벼룩잎벌레, 두쌍무늬노린재, 팔점날개매미 충,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미국흰불나방)을 선정하였 으며, 해당 종들에 대해 새롭게 파악한 생태학적 정보들은 다음 과 같다.

    두점알벼룩잎벌레(Argopistes biplagiatus Motchulsky) (Figs. 8A~ C): 본 조사에서 총 5종의 가로수 수종(감나무, 메타세쿼이아, 단풍나무, 이팝나무, 왕벚나무)에서 확인되었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수종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특히 최근 가로수로 식재를 많이 하는 ‘이팝나무’의 잎을 7월 중순경에 집 중적으로 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해를 받은 식물체의 잎은 거의 모두 피해를 받게 되어 피해가 극심하고, 남은 줄기, 가지들만 앙상하게 남게 되는 피해를 야기한다.

    두쌍무늬노린재(Urochela quadrinotata (Reuter)) (Figs. 8D~ E): 본 조사에서 광주호호수생태공원에서만 집중적으로 확인 되었다. 조사 결과, 5월 중순~9월 중순까지 2세대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변에서 자생하는 느릅나무 수종의 줄 기, 가지, 잎 등 기주식물 대부분의 부위를 장기간동안 지속적 으로 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변지역에 주로 식재하는 수종인 느릅나무에 큰 피해를 야기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주의 와 방제가 필요한 종으로 판단된다.

    팔점날개매미충((Ricania speculum (Walker)) (Figs. 9A~B): 본 종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 서는 2014년에 첫 보고 된 바 있는 종이다(Park and Jung, 2021). 전 세계적으로 29과 34종의 기주식물이 알려져 있으며 (Park and Jung, 2021), 본 조사에서는 뽕나무와 이팝나무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본 연구와는 별도로 개인적인 관찰을 통해 서울 도심지역(성동구 용담역 인근)의 수변지역에서도 확인 (2022.9.17.)된 바 있다. 따라서, 추후 국내의 넓은 지역의 산림 과 가로수에 피해를 야기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지속적인 모니 터링과 분포 확산 연구가 필요한 종이다.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ublimata Jacobi) (Figs. 9C~D): 본 종은 현재 국내에서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에 분포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외에는 중국, 일본, 대만에 분포하고 있 다(Park and Jung, 2021). 국내에 알려진 기주식물은 총 21과 39 종으로 주의가 필요한 해충 종이다. 본 조사에서는 산동교친수 공원을 제외한 5개 조사지에서 모두 발견이 되었으며 총 9종의 가로수 수종에서 발견되었다.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Figs. 9E~F): 본 종 은 현재까지 국내에서 알려진 기주식물은 총 62과 145종에 달 한다(Kim and Kil, 2014). 본 조사를 통해 미국선녀벌레의 새로 운 기주식물로 확인된 종은 총 3종으로 이팝나무, 왕버들, 찔레 꽃이다.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Fig. 10A): 본 종이 발견된 모든 지역에서 7월 말~8월 초부터 유충의 섭식 가 해활동을 시작하여 9월 초에 새로운 2세대 유충들이 활동을 시 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주식물 주변의 잎들을 모아 거미 줄 모양의 집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많은 개체들의 유충들이 섭식 활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조사를 통해 위 6종의 주요 해충 이외에 울도하늘소 ((Psacothea hilaris (Pascoe)) (Fig. 10B)와 소나무허리노린재 (Leptoglossus occidentalis Heidemann) (Figs. 10C~D)를 새로 운 지역에서 확인하였다.

    특히, 울도하늘소는 기존 우리나라의 울릉도에서만 자생하 였던 종이지만 현재는 국내 내륙의 넓은 지역으로 확산한 종이 다. 본 조사를 통해서 전북 김제시에 위치한 백구소공원 내의 뽕나무를 가해하고 있는 개체를 확인(2022.7.22.)할 수 있었다.

    또한, 소나무허리노린재가 익산 중앙체육공원 내의 소나무 와 광주 풍암생활체육공원의 섬잣나무의 종자를 가해하고 있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호남권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도심 및 교외 공 원 총 6개 지역 내 가로수 21종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해충 51종 과 다수의 해충이 가해하는 수종(뽕나무, 왕벚나무 등)들로 주 로 식재되어 있는 수변 지역에서 많은 해충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하였고, 또한, 확인된 해충 중에서 식엽성 곤충이 다른 기주식물 부위를 가해하는 것보다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조건(산림, 수변, 도심)의 지역 중 산림에 인접한 공원에 서 가장 많은 해충 종 수가 확인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지만 수변지역에서 가장 많은 해충 종이 확인된 이유는 수변지역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이팝나무(총 14종 해충 확인), 왕벚나 무(총 25종 해충 확인)를 가해하는 해충이 다양한 것이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심공원은 일반인들의 활동이 많고 인위 적으로 해충 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해충 방제 작업이 이루 어졌기 때문이라고 판단하며, 실제 조사기간 동안 광주의 풍암 생활체육공원과 익산의 중앙체육공원에서 해충 방제를 위한 처리를 수 회 진행한 것을 확인하였다.

    Korea Forest Service (2023)가 발표한 ‘시도별 주요수종 가로수 조성 현황(~2021)’ 자료에 따르면 다양한 수종이 혼합된 기타 수종 (4,634,372본)을 제외한 수종 중에서 왕벚나무가 1,119,574본으 로 가장 많이 식재되고 은행나무(1,035,858본), 이팝나무(719,045 본), 느티나무(573,410본), 무궁화(521,489본), 벚나무(503,386 본)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2021년 가로수 관리사업 예 산 중 ‘병해충 방제’ 비용이 전체 사업 중 약 40%를 차지한다. 이 에 따라, 본 조사에서 많은 해충이 발견된 왕벚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등이 국가적으로 넓은 지역에 식지되고 있으며 이들에 발생하는 해충 관리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새로운 녹지 확대, 신도시 개발, 도심 및 교외 산림공원 조성 시 토착, 해충의 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이 요구되며, 특히 해외 묘목 수입 등에 유입될 수 있는 산림 외 래병해충 차단에 노력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뿐만 아니라, 가로수로서 관상 가치가 높다 하더라도 해충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할 수 있는 수종에 대한 검토를 통해 조경수, 가로수 식재 계획에 참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 수행을 위하여 가로수 종에 대한 분류 및 동정을 해 주신 국립수목원 정수영 박사님과 나비목 유충의 종 동정에 협 조를 해 주신 전북대학교 식물방역대학원 김소라 교수님께 깊 은 감사를 드립니다.

    본 연구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의 지원으로 수행하였습 니다(FE0703-2023-02-2023).

    저자 직책 및 역할

    • 임종옥: 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 학연구소 조교수; 현장 조사/자료 분석 및 원고 작성, 검토

    • 유하늘: 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학부생; 현장 조사/표본 제작 및 해충 종 동정

    • 원정운: 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학부생; 현장 조사/표본 제작 및 해충 종 동정

    • 강석무: 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학부생; 현장 조사/표본 제작 및 해충 종 동정

    • 신수연: 원광대학교 생명환경학과 학부생; 현장 조사/표본 제작 및 해충 종 동정

    • 박용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임업연구사/자료 분석, 원고 검토

    • 정찬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임업연구관/자료 분석 및 원고 검토

    모든 저자는 원고를 읽고 투고에 동의하였음.

    KJAE-62-4-371_F1.gif

    Locations of survey sites (A, Gwangju Lake Park, Gwangju; B, Sandonggyo Park, Gwangju; C, Pungam Exercise Park, Gwangju; D, Seodong Park, Iksan, JB; E, Baekgu Small Park, Gimje, JB; F, Central Exercise Park, Iksan, JB).

    KJAE-62-4-371_F2.gif

    A overall view of survey sites (A, Gwangju Lake Park, Gwangju; B, Sandonggyo Park, Gwangju; C, Pungam Exercise Park, Gwangju; D, Seodong Park, Iksan, JB; E, Baekgu Small Park, Gimje, JB; F, Central Exercise Park, Iksan, JB).

    KJAE-62-4-371_F3.gif

    Investigation pictures in the field (A) and rearing condition in the laboratory (B).

    KJAE-62-4-371_F4.gif

    Number of genus and species of insect pests for each insect order.

    KJAE-62-4-371_F5.gif

    Number of insect pests species from 21 street tree species.

    KJAE-62-4-371_F6.gif

    Number of insect pests species for each character of survey sites.

    KJAE-62-4-371_F7.gif

    Number of insect pests species from damaged tree parts.

    KJAE-62-4-371_F8.gif

    Pictures of insect pests and damaged trees (A, Argopistes biplagiatus feeding on leaf of Chionanthus retusus; B, adult specimen of A. biplagiatus; C, damaged tree of C. retusus by A. biplagiatus; D, individuals of Urochela quadrinotata on trunk of Ulmus davidiana; E, adult specimen of U. quadrinotata).

    KJAE-62-4-371_F9.gif

    Pictures of insect pests and damaged trees (continued) (A, adult of Ricania speculum; B, adult specimen of R. speculum; C, adult of R. sublimata; D, adult specimen of R. sublimata; E, Metcalfa pruinosa feeding on twig of Acer palmatum; F, adult of M. pruinosa).

    KJAE-62-4-371_F10.gif

    Pictures of insect pests and damaged trees (continued) (A, damaged leaves of Morus alba by Hyphantria cunea; B, adult of Psacothea hilaris feeding on twig of M. alba; C~D, nymph of Leptoglossus occidentalis feeding on seed of Pinus densiflora (C) and P. parviflora (D)).

    Information of survey sites for the present study (*: NF, Nearby to Forest; NR, Nearby to River; ND, Nearby to Downtown)

    Investigation dates for the present study

    Major tree species in survey sites (NF, Nearby to Forest; NR, Nearby to River; ND, Nearby to Downtown; GLP, Gwangju Lake Park; SDP, Seodong Park; SP, Sandonggyo Park; BSP, Baekgu Small Park; PEP, Pungam Exercise Park; CEP, Central Exercise Park) (Authorship of tree species is omitted)

    List of insect pests founded from 21 street tree species and damaged tree parts (* HE, Hemiptera; CO, Coleoptera; LE, Lepidoptera; OR, Orthoptera; HY, Hymenoptera) (Each authorship of trees and insect pests is omitted)

    Reference

    1. Ahn, S., Lee, S., Kim, J., Nam, Y., Choi, S., Jung, J.-K., 2022. Occurrence of lepidopteran insects in urban forests. Korea J. Appl. Entomol. 61, 481-496.
    2. Blakemore, E., 2022. U.S. cities will lose over 1.4 million street trees to insects by 2050. https://www.washingtonpost.com/science/ 2022/03/20/trees-pests-ash-borer/ (accessed on 27 November, 2023).
    3. Branco, M., Nunes, P., Roques, A., Ferandes, M.R., Orazio, C., Jactel, H., 2019. Urban trees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nonnative forest insects. NeoBiota, 52, 25-46.
    4. Frank, S.D., 2019. A survey of key arthropod pests on common southeastern street trees. Arboric. Urban. For., 45, 155-166.
    5. Kim, D.E., Kil, J., 2014. Occurrence and host plant of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in Korea. J. Environ. Sci. Int. 23. 1385-1394.
    6. Korea Forest Service, 2020. Manual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s. Utggomunhwasa. Daejeon.
    7. Korea Forest Service, 2023. (Urban forest) Result on creation of street trees and management. https://www.forest.go.kr/kfsweb/ 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69&mn= NKFS_06_09_01&nttId=3181818 (accessed on 27 November, 2023).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9. Lee, B.-Y., 1998. Diseases and insect pests of landscaping trees. - Phyllophagous insect pests of Prunus species -. Landscaping Trees 44, 17-20.
    10. Meineke, E., Youngsteadt, E., Dunn, R.R., Frank, S.D., 2016. Urban warming reduces aboveground carbon storage. Proc. R. Soc. B., 283, 20161574.
    1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1. Investigation on damages and ecological features of hemipteran insect pests from major tree species in living spac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pp. 1-255.
    12. Park, C.R., Jeong, J., Ryu, D., Yeo, J., Choi, S., Sou H.D., Chang H., Son, J., Lee, I.K., 2022. A present status and trends of study on urban forests in Korea. Proc. Korean Soc. Environm. Ecol. Con. 32, 3-4.
    13. Park, J., Jung, S., 2021.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Ricaniidae (Hemiptera: Auchenorrhyncha: Fulgoroidea) from Korea. J. Asia Pac. Entomol., 24, 1286-1300.
    14. Sung, H.-C., Min, S.-H., 2003. An empirical study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J. KILA 31, 48-57.
    15. Tubby, K.V., Webber, J.F., 2010. Pests and disease threatening urban trees under a changing climate, Forestry 83, 451-459.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