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거세미밤나방은 배추 등 채소작물의 뿌리나, 줄기 등을 가 해하는 밤나방과 해충으로(Fig. 1) 아시아지역과 미국, 아프리 카, 유럽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Showers, 1997;Lee and Potter, 2015;Joshi et al., 2020). 우리나라에서는 1910년대부터 기록 되어 있으며, 방제를 위해 곤충병원성선충 등의 생물적 방제도 시도되고 있으나(Lee and Potter, 2015), 여전히 잔효성이 긴 침 투이행성 약제들이 사용되고 있다(Joshi et al., 2020).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PLS (positive list system)에 대응 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도농업기술원 등에서 소면적 작 물에 약제등록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토양 서식 해충의 경 우 생충수 확인이 어렵고, 비의도적 농약잔류문제, 비표적 생물 에 대한 위험성 등으로 인해 포장시험에 어려움이 많다(Joshi et al., 2020). 따라서 본 연구는 검거세미밤나방에 대한 간이 약효검 정법을 통해 시판 살충제들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검거세미밤나방 간이생물검정법은 하단에 물빠짐을 위해 직 경 약 2 cm의 구멍이 4개 뚫린 사각 플라스틱 포트(63 × 50 × 20 cm)를 이용하는 방법이다(Fig. 2). 토양혼화처리제의 경우 포트 절반 높이의 흙에 정량을 혼합하고 유묘를 정식한 후 물을 흠뻑 준 뒤 1일 경과 후에 3령 유충을 접종하였다. 토양관주처리제의 경우 작물을 정식하고 약제 희석액을 관주한 뒤 1일 경과 후에 공시충을 접종하였다. 검거세미밤나방은 동종포식성이 강하기 때문에(Olufade, 1972) 포트 당 10마리 이하로 접종하고, 야간 에 4령 이상 유충의 이탈이나 조류 피해 방지를 위해 포트 상부 는 방충망(20 ~ 30mesh)을 씌우고 고정해 주었다. 약제별 3반복 으로 약제처리 7일 후 생충수를 조사하여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본 간이검정법을 이용해 검거세미밤나방의 약제 감수성을 검 정한 결과, 토양혼화처리제로는 Deltamethrin+Tebupirimfos (0.1+ 2) GR, Phoxim (2) GR, Cyfluthrin+Tebupirimfos (0.1+2) GR, Tefluthrin (0.5) GR, Bifenthrin (0.2) GR, Chlorpyrifos (2) GR 가 90% 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으며(Table 1), 토양관주처 리제로는 Metaflumizone (20) EC, Chlorantraniliprole (5) WG, Lufenuron (5) EC, Chlorfluazuron (5) EC, Deltamethrin (1) EC, Chlorfenapyr (5) EC, Pyridalyl (10) EW, Etofenprox (10) WP가 90% 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이 있음을 판정할 수 있었다(Table 2). 본 연구를 통해 고안한 생물검정법은 거세미나방류나 벼룩잎벌 레와 같이 토양서식형 해충들에 대해서 환경생태계에 대한 부작 용(Joshi et al., 2020)을 최소화하면서 살충제나 미생물제 약효 시험 등 다양한 생물검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