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9 No.4 pp.349-351
DOI : https://doi.org/10.5656/KSAE.2020.10.0.060

A New Record of Vollenhovia nipponica Kinomura & Yamauchi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from Korea

Dong Oh Shin, Sun Woo Yoon, Dong Pyeo Lyu1*
Pureunsol Ant Research Center, Daegu 42814, Korea
1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Sangji University, Wonju 26339, Korea
*Corresponding author:myrmicinae@sangji.ac.kr
September 13, 2020 October 7, 2020 October 26, 2020

Abstract


One species of the genus Vollenhovia Mayr, 1865: V. nipponica Kinomura & Yamauchi, 1992 is described from Korea. Morphological photos for queen of the species are described.



한국미기록종 Vollenhovia nipponica Kinomura & Yamauchi (벌목: 개미과: 두마디개미아과)의 보고

신 동오, 윤 선우, 류 동표1*
푸른솔개미연구센터
1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초록


한국산 미기록종인 의태에메리개미(V. nipponica Kinomura & Yamauchi)(신칭)를 최초로 보고한다. 본 종에 대한 형태학적 진단과 사 진을 제공한다.



    두마디개미아과(subfamily Myrmicinae)의 하위분류군인 에 메리개미속(genus VollenhoviaMayr, 1865)은 전 세계적으로 77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동양과 인도-호주 지역에 대부분 종 이 분포하고 있고, 구북구와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에는 거의 분 포하지 않는다(Bolton, 1995). 에메리개미속의 종들은 일반적 으로 산림생태계 내에 서식하고 썩은 나뭇가지, 나무줄기 및 통 나무 껍질 아래의 공간에 집을 짓고 산다(Eguchi et al., 2011).

    한반도에는 에메리개미속에 한 종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으며(Lyu, 2003), 에메리개미속 연구는 아주 미흡한 상 황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류군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에서 처음으로 일개미가 없는 사회기생성 개미인 의태에메리 개미(Vollenhovia nipponica Kinomura & Yamauchi)(신칭)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 종의 형태학적 특징과 사진을 제공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조사된 표본은 대한민국 상지대학교에 산림곤 충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논문에 사용된 사진은 라이카 DMS 1000 현미경 및 S8AP0 현미경(Leica Microsystem, Germany) 을 사용하여 표본을 촬영하였다. 사진은 Leica Application Suite v. 4.9 (Leica Microsystems) 및 Deltabio MOT Leica 소 프트웨어 v. 4.0을 사용하여 캡처하여 다중 초점 이미지를 얻었다.

    표본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는 Bolton (2003)을 따랐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본 채집지 및 약어는 다음과 같다.

    Q (여왕개미), M (숫개미), TL (모식지), and GN (경상남도).

    Taxonomic Accounts

    Genus VollenhoviaMayr, 1865 에메리개미속

    VollenhoviaMayr, 1865: 21. Type-species: Vollenhovia punctatostriata.

    AratromyrmexStitz, 1938: 105. Type-species: Aratromyrmex luctuosus.

    DyomoriumDonisthorpe, 1947: 191. Type-species: Dyomorium ireneum.

    DorotheaDonisthorpe, 1948: 65. Type-species: Dorothea novobritainae.

    HeteromyrmexWheeler, W.M. 1920: 53. Type-species: Vollenhovia rufiventris.

    진단. 일개미는 단일형; 머리를 정면에서 보면 직육면체; 이 마주름과 더듬이 홈은 없다; 이마방패 중앙부분은 융기되어 있 고, 측면 가장자리에 뚜렷한 세로 주름이 나 있다; 앞쪽 중앙 부 분에 가로 주름이 있고, 이마방패 후연부위는 전두엽사이에 비 교적 좁게 함입되어 있다; 이마방패의 측면은 더듬이 삽입부의 앞쪽에 있는 뚜렷한 융기 또는 벽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큰 턱 은 삼각형; 저작 가장자리에는 6개 이상의 치아; 더듬이는 11 혹은 12마디로 곤봉부는 3마디; 겹눈은 항상 있고, 중소형 크 기; 측면에서 보면 가슴은 길고 낮다; 앞가슴과 가운데가슴 등 면은 아크모양을 이루지 않고; 앞가슴가운데가슴 봉합선은 없 다; 뒷가슴 등판고랑은 약하거나 위쪽으로 약하게 나타난다; 전신복절의 후연등면부는 둥글거나 작은 치상돌가 있다; 제 1 배자루마디는 결절모양이고, 자루마디의 앞쪽부위는 짧고 불 분명하다; 제 1배자루마디 후방등면은 제 2배자루마디의 병목 부위보다 높은 고리모양; 일반적으로 배자루마디 밑 돌기는 큰 엽상모양으로 발달해 있다.

    Vollenhovia nipponicaKinomura & Yamauchi, 1992 의태 에메리개미(신칭)

    Vollenhovia nipponicaKinomura & Yamauchi, 1992: 203. TL: Japan.

    Full description of queen and male: see Kinomura & Yamauchi (1992)

    진단형질 : 여왕개미의 몸 길이: 2.2 mm (Fig. 1), 머리길이: 0.56~0.61 mm, 머리폭: 0.48~0.50 mm, 더듬이길이: 0.29 ~ 0.32 mm, 가슴길이: 0.38~0.41 mm, 제 1배자루마디 길이: 0.15 ~ 0.16 mm, 제 2배자루마디 길이: 0.19~0.20 mm이다. 에메리 개미의 여왕보다 붉은색을 띠고 몸길이가 작다(Fig. 2A~D).

    조사된 표본: 15Q, 2M, 실봉산, 진주시, GN, 01.Ⅴ. 2020. (SW Yoon & DO Shin).

    분포: 한국 (미기록), 미국, 일본.

    저자 직책 & 역할

    신동오 : 푸른솔개미연구소, 소장; 시료준비 및 자료분석

    윤선우 : 푸른솔개미연구소, 연구원; 시료준비 및 분석

    류동표 : 상지대, 교수; 실험설계 현미경 분석 및 논문작성

    모든 저자는 원고를 읽고 투고에 동의하였음.

    KSAE-59-4-349_F1.gif

    Vollenhovia nipponicaKinomura & Yamauchi, 1992. Queen.

    KSAE-59-4-349_F2.gif

    Vollenhovia nipponicaKinomura & Yamauchi, 1992. A: frontal view of the head; B: lateral view of the thorax; C: dorsal view of the thorax; D: lateral view of the petiole.

    Reference

    1. Bolton, B. 1995. A new general catalogue of the ants of the world.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p. 504.
    2. Bolton, B. 2003. Synopsis and Classification of Formicidae. Mem. Am. Entomol. Inst. 71, 370 pp.
    3. Donisthorpe, H. 1947. Some new ants from new Guinea. Ann. Mag. Nat. Hist. 11, 183-197.
    4. Donisthorpe, H. 1948. A new genus and species of ant from new Britain. Entomol. Rec. J. Var. 60, 65-66.
    5. Eguchi, K. , Bui, T.V. , Yamane, S. 2011. Generic synopsis of the Formicidae of Vietnam. Part 1 - Myrmicinae and Pseudomyrmecinae. Zootaxa 2878, 1-61.
    6. Kinomura, K. , Yamauchi, K. 1992. A new workerless socially parasitic species of the genus Vollenhovia (Hymenoptera, Formicidae) from Japan. Jpn. J. Entomol. 60, 203-206.
    7. Lyu, D.P. 2003. Systematics of Myrmicinae from Korea (Hymenoptera: Formicidae). Doctor Thesis. The National University of Chungbuk, 1-327.
    8. Mayr, G. 1865. Reise der österreichischen fregatte novara um die erde in den Jahren 1857, 1858, 1859, unter den befehlen des Commodore B. von Wüllerstorf-Urbair. Zoologischer Theil: Formicidae, Vienna, p. 119.
    9. Stitz, H. 1938. Neue Ameisen aus dem indo-malayischen gebiet. Sitzungsber. Ges. Naturforsch. Freunde Berl. 1938, 99-122.
    10. Wheeler, W.M. 1920. The subfamilies of Formicidae, and other taxonomic notes. Psyche (Camb.) 27, 46-55.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