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9 No.2 pp.117-127
DOI : https://doi.org/10.5656/KSAE.2020.04.0.022

Report on the Hitchhiker Insect Pests Detected from the Foreign Vessels Entering into Korea

Tae Hwa Kang*, Sang Woong Kim, Il Kyu Cho, Ki-Jeong Hong1, Sangwook Park2, Nam Hee Kim3, Deuk-Soo Choi4
Eco-Friendly Agro-Bio Research Center,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Gokseong 57509, Korea
1Department of Plant Medicin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522, Korea
2Research Institute of Forest Insect Diversity, Namyangju 12113, Korea
3International Plant-quarantine Accreditation Board, Busan 48400, Korea
4Department of Plant Quarantin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Gimcheon 39660, Korea
*Corresponding author:colkth@daum.net
March 25, 2020 April 27, 2020 May 8, 2020

Abstract


We monitored on the hitchhiker insect pests from a total of 112 foreign vessels entering into Korea during 109 days from 1. Jun. to 17. Sep. in 2018. As the results, a total of 336 samples of the hitchhiker insects were collected using simply collecting method by hands, one of interception method and identified as 159 species of 47 families under nine orders on the basis of integrative species identification. Among them, 14 species of nine families under three orders were detected as undistributed species in South Korea. We reported on the 14 undistributed species in South Korea with the data sheets for the risk assessments on invasive or invasive likelihood species. Also, we suggested and used the term ‘not-distributed species’ for avoiding confusion with ‘unrecorded species’, ‘unreported species’, or ‘new reported species’.



국외에서 출항한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에 대한 보고

강 태화*, 김 상웅, 조 일규, 홍 기정1, 박 상욱2, 김 남희3, 최 득수4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1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
2(주)산림곤충다양성연구소
3국제식물검역인증원
4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

초록


2018년 6월 1일부터 9월 17일까지 109일 동안, 총 112개 국외 발 국내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편승자 해충(hitchhiker insect pests)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36개체의 편승자 해충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합 분류학적 종동정 방법(integrative identification method)을 이용하여 9목 47과 159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총 3목 9과 14종의 한국 미분포종(not-distributed species)이 확인되어 보고하며, 검출된 미분포종에 대해서 침입종(invasive species) 내지 침입 가능종(invasive likelihood species)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위한 data sheet를 제공하였다. 또한, 미기록(unrecorded species), 미보고종(unreported species) 내지 신기록종(new recorded species)과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분포종(not-distributed species)을 제안하여 사용하였다.



    편승자 생물(hitchhiker organism)은 생물학적인 기주나 숙 주 관계 없이 물건이나 구조물과 일시적 연관성이 있는 생물을 말한다 (Toy and Newfield, 2010). 유명한 산림 해충인 매미나 방(Lymantria dispar asiatica Vnukovskij, 1926)이 편승자 생 물의 대표적인 예로 알려져 있다. 항만 주변에서 발생한 성충은 교미 후 주로 선박의 선체 외부나 컨테이너 외부에 알을 낳아 난괴 형태로 붙여 놓는데, 낳아 놓은 알은 선박의 항로에 따라 전파가 된다(Pogue and Schaefer, 2007;deWaard et al., 2010;Toy and Newfield, 2010;Kang et al., 2015). 이와 같은 편승자 해충은 비생물적 경로(inanimate pathway)에 의해 침입과 확산 이 일어나는데, 비생물적 경로에는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일반적인 운송 수단뿐만 아니라 모든 기계 장치나 목재 구조물 까지도 포함될 수 있다(Humble and Allen, 2006;deWaard et al., 2010;Toy and Newfield, 2010). 한국에서는 2018년 안산 의 물류창고에서 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Buren, 1972) 가 검출되었는데, 중국에서 생산하여 포장한 가정용 청소기 안 에 붉은불개미가 둥지를 지어 서식하고 있는 것이 한국으로 수 입되어 발견된 경우로 확인되었다(YNA, 2018).

    편승자 생물을 포함한 침입 외래 생물에 대한 문제는 교통 및 운송 수단이 발달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Armstrong and Ball, 2005;Hulme, 2009;Toy and Newfield, 2010;Kang et al., 2019). 이와 같은 생물안보(Biosecurity)의 문제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침입 생물 들은 농수산업 등의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적인 측면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다(Follett and Neven, 2006;Hulme, 2009). 이에 따라, 국제식물보호협약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f Biological Diversity, CBD)에 서도 생물안보에 대한 위험 분석을 권장하고 있다(IPPC, 1997;CBD, 2002). 이와 같이 침입 생물에 대한 생물안보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우리는 2018년부터 국외에서 출항하여 한국으 로 입항하는 선박에서 검출되는 편승자 해충에 대한 모니터링 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 충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국외 에서 출항하여 한국으로 입항하는 선박에서 검출된 한국 미분 포 편승자 해충을 보고하면서 그 편승자 종들의 생물학적 정보 (분류학적 위치, 형태, 분포, DNA바코드 서열 정보, 해충 정보 및 생태)와 비생물적 경로 정보(해충 검출 정보, 관련 협약) 등 을 나열하여 정리한 data sheet를 제공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편승자 해충 연구를 위한 용어의 정리

    편승자 생물은 원서식지에서 다른 새로운 서식지로 침입한 종이 아니며, 우연히 선박, 자동차, 항공기 등의 특정 운송 수단 내지 경로(pathway)에 붙거나 들어온 후 갇혀 경로와 함께 이 동된 생물이다(Toy and Newfield, 2010). 따라서, 그 생물이 경 로가 되는 이동 수단으로부터 이탈하여 새로운 서식지에 정착 하지 않는 한 침입종으로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침입생물의 침 입 양상에 대한 판단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특정 지역에 분포하 지 않는 편승자 해충을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학 용어인 미기록종(unrecorded species), 미보고종(unreported species), 신기록종(new recorded species) 등이 혼용되어 토종 생물종과 편승자 생물종 간의 혼동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와 같은 생물학적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한국에 서식 하지 않는 편승자 해충에 대하여 미분포종(not-distributed species) 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며, 본 보고에서는 한국에 서식하지 않는 편승자 해충종에 대해 이에 대한 용어 ‘미분포 편승자 해충 (not-distributed hitchhiker insect pests) 혹은 미분포종(notdistributed species)’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선박 항해 정보 수집 및 표본 확보

    분석을 위한 편승자 해충은 입항선박에 대한 해충 조사 기능 을 가지고 있는 기관인 국제식물검역인증원(부산, 한국)에서 2018년 6월 1일부터 9월 17일까지 109일간 보고잡기법(Simply collecting method by hands)으로 국내 입항 선박의 선체외부를 집중 조사하여 확보하였다. 확보된 해충은 건조표본으로 제작 하여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표본실에 보 관하였다.

    체세포 DNA 추출,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서열판독 및 서열정리

    확보한 채집 개체들에 대한 체세포 DNA는 DNeasy® Blood & Tissue Kit (Qiagen, 라이프치히, 독일)를 이용하여 사용자 매뉴얼에 따라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체세포 DNA는 채집 개 체의 고유번호를 기재하여 추후 검증 분석을 위해 -10℃의 냉 동고에 보관하였다. DNA바코드 영역의 증폭은 AccuPower® PCR Premix (Bioneer, 대전, 한국)에 체세포 DNA 1~3㎕, 프라 이머 쌍 2㎕, 증류수 15~17㎕를 혼합하여 총량 20㎕의 혼합액 을 만들어 중합효소연쇄반응기(PCR Thermal Cycler DiceTMTouch, TaKaRa, 시가, 일본)를 이용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증폭 하였다: 개시 단계 94℃(5분) 1회; 증폭 단계 94℃(10초), 48~53℃(10초), 72℃(20초), 30회; 종결 단계 72℃(5분) 1회. 프라이머 쌍은 COI의 전반부 658 bp를 증폭하는데 이용되는 LCO1490과 HCO2198 쌍을 이용하였다(Folmer et al., 1994). 증폭 산물은 DNA서열전문분석업체인 젠큐브(GenCube, 김 포, 한국)에 의뢰하여 서열판독기(3730xl DNA analyzer,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로 양방향 판독하였다. 최 초 판독 서열은 MEGA6 (Tamura et al., 2013)을 이용하여 프라 이머 위치 서열을 제거한 후 양방향 서열을 비교 정리한 최종 조합 서열을 NCBI GenBank에 제출하여 Accession No.를 부 여받았다: MT129144~MT129469.

    통합적 종 동정

    DNA바코드를 이용한 종동정은 NCBI의 BLAST Searching 방법과 BOLD Systems의 Identification Engine 방법을 이용하 여 각 Database의 등록 서열과 비교하여 실시하였다(Altschul et al., 1990;Ratnasingham and Hebert, 2007). 그 후 각 방법에 서 선발된 종과 DNA바코드 서열의 유사도가 98% 이상을 나타 내면 동종으로 진단하는 2% cutoff 방식을 채용하여 최종 동정 하였다(Hebert et al., 2003;Hebert et al., 2004). 얻어진 DNA 바코드 기반 종동정 결과는 준분류학적 수준(parataxonomic level)으로 형태적 재검토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확증하였고,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발간한 국가생물종목록을 이용하여 한국 서식 유무에 대해 검토하였다(NIBR, 2011;2018;2019).

    결과 및 고찰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의 검출 및 침입 가능성 평가

    총 112개 국외 발 국내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편승자 해충 (hitchhiker insect pests)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총 336개 체의 편승자 해충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합 분류학적 종동정 방법(integrative identification method)을 이용하여 9목 47과 159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총 3목 9과 14종의 한국 미분포종 (not-distributed species)이 발견되었다(Table 1). 이 중 다중 검 출(multiple detections)이 확인된 종은 7종으로 확인되었는데, 다중 검출은 크게 세 종류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2014년 3월에 서부터 11월까지 조사했던 결과(Kang et al., 2015;Kang et al., 2019)에서 확인된 적이 있는 종들로 Lymantria xylina, Noctua pronuba, Arippara disticha가 이번 조사에서도 재차 발견되었 다. Lymantria xylina는 본 조사에서 단일 개체만 검출되었으 나, Kang et al. (2015)에 의한 조사에서는 2개체가 여수항에서 검출된 바 있다. Noctua pronuba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관리 병해충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종으로 Kang et al. (2019)에 의 한 조사에서도 1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번 조사에서도 1개체 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종의 관리병해충 지정 현황을 고려 한다면, 주요 편승 경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종이다. Arippara disticha는 이번 조사에서 단일 개체만이 확인되었으 나, Kang et al. (2019)에서는 11개체가 확인된 바 있다.

    두 번째 검출 양상은 단일 편승이지만 여러 개체가 검출된 경우로 Lemyra rhodophiloides, Malacosoma dentata, Chondracris rosea 등의 3종이 이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Lemyra rhodophiloides는 중국 상하이에서 부산으로의 직항 선박에서 2개체가, Malacosoma dentata는 중국 닝보에서 부산으로의 직 항 선박에서 3개체가, Chondracris rosea는 중국 옌톈를 출항 하여 중국 닝보와 중국 양산을 경유하고 부산신항으로 입항한 선박에서 4개체가 확인되었다. 이들 3종은 모두 단일 지역으로 부터 출항한 단일 선박에서 검출되었다.

    세 번째 검출 양상은 단일 편승의 단일 개체가 여러 선박에서 검출된 경우로 Euhampsonia serratifera에서 나타난 편승 양상 인데, 3개의 선박에서 각각 1개체씩만이 확인되었다. 선박의 출항지는 각각 싱가포르, 타이완, 러시아이며, 입항지 역시 각 각 울산항, 인천항을 경유한 포항항, 포항항 등으로 모두 달랐 다. 일반적으로 외래 생물종은 유입량이나 빈도가 높을수록 정 착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ockwood et al., 2005;Johnston et al., 2009), 편승자 해충은 동일 경로로의 유입빈도는 낮지만, 단일 유입 개체수가 높은 경우에는 정착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Toy and Newfield, 2010). 이 같은 상황으로 볼 때, 현 모니터링을 통해 다중 검출된 편승자 해충은 한국 침입 가능성이 단일 검출종보다 높은 것으로 사료 된다. 따라서, 이번 조사 결과로 확인된 14종의 미분포 편승자 해충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 해 이들의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를 위한 생물학적 기초 자료를 data sheet (appendix) 형식으로 제공하였다.

    Appendix. Data Sheets

    1. Amata edwardsii (Butler, 1876) (Appendix Fig. 1-1)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Erebidae, Lepidoptera

    2. 분포 : 타이완, 중국 (푸젠, 상하이, 전장, 윈난) (Lu et al., 2012)

    3. 식성 : 식식성. Liquidambar formosana (Altingiaceae), Trema orientalis (Cannabaceae) (Liu, 2011)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271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30

    2. 검출 일자 : 2018년 6월 4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Arnold Maersk (9260433)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상하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부산항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2. Lemyra rhodophilodes (Hampson, 1909) (Appendix Fig. 1-2, 1-3)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Erebidae, Lepidoptera

    2. 분포 : 타이완 (Thomas, 1990)

    3. 식성 : 식식성. Angiopteris lygodiifolia (Marattiaceae) (Lin, 1999)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158 (S/N : 0015); MT129213 (S/N : 0071)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015, 0071

    2. 검출 일자 : 2018년 9월 5일(S/N : 0015); 2018년 9월 16 일(S/N : 0071)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S/N : 0015); 사(S/N : 0071)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Zim Haifa (9288904) (S/N : 0015); Daebo Gladstone (9610561) (S/N : 0071)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상하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부산항(S/N : 0015); 출항지, 인도네시아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삼천포항(S/N : 0071)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3. Lymantria xylina Swinhoe, 1903 (Appendix Fig. 1-4)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Erebidae, Lepidoptera

    2. 분포 : 타이완, 중국 (푸젠, 광둥), 일본 (Pogue and Schaefer, 2007; Lee et al., 2015)

    3. 식성 : 식식성. 타이완에서는 29개 과에 속하는 63개 종 의 수목류를 가해(이 중 약 1/4이 Euphorbiaceae와 Fagaceae에 속하며, 용안(Dimocarpus (=Euphorbia) longan), 리치(Litchi chinensis) (Sapindaceae), 망고(Mangifera indica) (Anacardiaceae)와 같은 주요 과실나무가 포함 되어 있음) (Chao et al., 2001); 대만과 중국에서는 Casuarina equisetifolia, C. cunninghamiana (Casuarinaceae) 를 가해(Li et al., 1981; Zhao 1982; Chang and Weng, 1985;Chao et al., 2001); Mallotus japonicus, Ricinus communis (Euphorbiaceae), Persea thunbergii (Lauraceae), Syzygium samarangense (Myrtaceae) (Chao et al., 2001)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259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18

    2. 검출 일자 : 2018년 6월 7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MSC Renee (9465306)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닝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부산항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4. Malacosoma dentata Mell, 1939 (Appendix Fig. 1-5, 1-6, 1-7)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Lasiocampidae, Lepidoptera

    2. 분포 : 중국(푸젠) (Zolothuhin and Witt, 2000)

    3. 식성 : 식식성. 알려진 바 없으나, 북미에서는 근연종인 Malacosoma californicum이 주기적으로 대량발생하여 Prunus sp.를 가해(Barnes et al., 2016)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263 (S/N : 0122); MT129264 (S/N : 0123); MT129265 (S/N : 0124)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22, 0123, 0124

    2. 검출 일자 : 2018년 6월 7일(S/N : 0122, 0123, 0124)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S/N : 0122, 0123, 0124)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MSC Renee (9465306) (S/N : 0122, 0123, 0124)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닝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부산항(S/N : 0122, 0123, 0124)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5. Parasa pastoralis Butler, 1885 (Appendix Fig. 1-8)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Limacodidae, Lepidoptera.

    2. 분포 : 부탄 (Type locality), 네팔, 파키스탄, 인도, 미얀 마, 중국(남부), 타이완, 태국, 베트남, 보르네오, 수마트 라, 자바, 발리, 홍콩 (Solovyev and Witt, 2009)

    3. 식성 : 식식성. Musa sp. (Musaceae), Aleurites cordata (Euphorbiaceae), Tectona grandis (Verbenaceae), Triadica sebifera (Euphorbiaceae), Camellia sinensis, Camellia sinensis (Theaceae) (Solovyev and Witt, 2009)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289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49

    2. 검출 일자 : 2018년 8월 7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사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SM Busan (9312767)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상하이 > 경유지, 한국 광양항 > 입항지, 한국 부산항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6. Noctua pronuba (Linnaeus, 1758) (Appendix Fig. 1-9)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Noctuidae, Lepidoptera

    2. 분포 : 아프리카(모로코, 튀니지), 유럽(영국, 프랑스, 독 일, 스위스, 아이슬란드, 핀란드, 폴란드, 체코), 아시아 (중동, 터키, 이라크, 이란, 아프가니스탄, 인도, 코카서 스, 중앙아시아), 북미(캐나다, 미국) (Difonzo and Russell, 2010;CABI, 2019)

    3. 식성 : 식식성. 광식성, Allium spp., Anemone spp., Beta vulgaris, Brassica spp., Buddleia spp., Calendula spp., Chrysanthemum spp., Dahlia spp., Daucus carota, Dianthus spp., Fragaria ananassa, Humulus lupulus, Lactuca sativa, Lolium spp., Nicotiana rustica, Plantago spp., Poa spp., Primula spp., Rumex spp., Solanum tuberosum, Trisetum flavescens, Valeriana spp., Vitis vinifera (CABI, 2019)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453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320

    2. 검출 일자 : 2018년 8월 7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Great Song (9445276)

    2. 항해경로 : 출항지, 싱가포르 > 경유지, 한국 광양항 > 입 항지, 한국 포항항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관리해충(Regulated pest)

    7. Euhampsonia serratifera Sugi, 1994 (Appendix Fig. 1-10, 1-11, 1-12)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Notodontidae, Lepidoptera

    2. 분포 : 미얀마, 태국, 베트남, 중국(남부, 남동부) (Schintlmeister, 1997;Schintlmeister and Lai, 2001)

    3. 식성 : 식식성. 알려진 바 없으나, 근연종인 Euhampsonia roepkeiQuercus sp. (Fagaceae)를 가해(Sutrisno, 2009)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309 (S/N : 0170); MT129446 (S/N : 0313); MT129449 (S/N : 0316) (sequence divergence 0.0-0.8%)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70, 0313, 0316

    2. 검출 일자 : 2018년 7월 15일(S/N : 0170); 2018년 7월 23 일(S/N : 0313); 2018년 7월 22일(S/N : 0316)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S/N : 0313, 0316); 사(S/N : 0170)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Gener8 Atlas (9322281) (S/N : 0170); Saga Spray (9014078) (S/N : 0313); Charana Naree (9296303) (S/N : 0316)

    2. 항해경로 : 출항지, 싱가포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 국 울산항(S-Oil Buoy) (S/N : 0313); 출항지, 타이완 > 경유지, 한국 인천항 > 입항지, 한국 포항항(S/N : 0313); 출항지, 러시아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포항항 (S/N : 0316)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8. Syntypistis viridipicta (Wileman, 1910) (Appendix Fig. 1-13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Notodontidae, Lepidoptera

    2. 분포 : 네팔, 인도,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 중국, 타 이완,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Schintlmeister, 2008)

    3. 식성 : 식식성. Styrax spp. (Styracaceae) (Schintlmeister, 2008)

    4. DNA 바코드 정보 :NCBI accession no. MT129278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37

    2. 검출 일자 : 2018년 6월 21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Ever Leading (9595462).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상하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부산항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9. Arippara disticha (Turner, 1904) (Appendix Fig. 1-14)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Pyralidae, Lepidoptera

    2. 분포 : 호주(Turner, 1904;Savela, 2011)

    3. 식성 : 식식성. 알려진 바 없음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311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72

    2. 검출 일자 : 2018년 7월 15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사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Gener8 Atlas (9322281)

    2. 항해경로 : 출항지, 싱가포르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 국 울산항(S-Oil Buoy)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10. Psilogramma lukhtanoviEitschberger, 2001 (Appendix Fig. 1-15)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Sphingidae, Lepidoptera

    2. 분포 : 태국(Eitschberger, 2001;Savela, 2011)

    3. 식성 : 식식성. 알려진 바 없음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323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84

    2. 검출 일자 : 2018년 7월 20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Fairchem Steed (9311256)

    2. 항해경로 : 출항지, 과테말라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 국 온산항(제2부두), Korea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11. Neochauliodes meridionalis Weele, 1909 (Appendix Fig. 1-16)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Corydalidae, Megaloptera

    2. 분포 : 베트남(호아빈, 라이쩌우, 라오카이), 중국(광둥, 광시, 하이난, 윈난) (Liu et al., 2010)

    3. 식성 : 육식성(Rivera-Gasperín et al., 2019)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397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262

    2. 검출 일자 : 2018년 8월 5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사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Fairchem Blade (9692416)

    2. 항해경로 : 출항지, 인도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온산항(정일 제4부두)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02)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해당사항 없음

    12. Chondracris rosea (De Geer, 1773) (Appendix Fig. 1-17, 1-18, 1-19, 1-20)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Acrididae, Orthoptera

    2. 분포 : 인도, 인도차이나 반도, 말레이시아, 중국, 타이완, 북한(Cigliano et al., 2020)

    3. 식성 : 식식성. 광식성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244 (S/N : 0103); MT129245 (S/N : 0104); MT129246 (S/N : 0105); MT129247 (S/N : 0106)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103, 0104, 0105, 0106

    2. 검출 일자 : 2018년 8월 10일(S/N : 0103, 0104, 0105, 0106)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S/N : 0103, 0104, 0105, 0106).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Leverkusen Express (9613006)

    2. 항해경로 : 출항지, 중국 옌톈 > 경유지, 중국 닝보 > 입항 지, 한국 부산신항(PNC)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13. Cyrtacantharis tatarica Linnaeus, 1758 (Appendix Fig. 1-21)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Acrididae, Orthoptera

    2. 분포 :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지중해, 사우디 아라비 아, 인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네팔, 미얀마, 필리핀, 세이셸, 스리랑카, 수마트라, 태국, 중국(하이난) (Sharma, 2012;Cigliano et al., 2020)

    3. 식성 : 식식성. 광식성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393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258

    2. 검출 일자 : 2018년 8월 4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사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STI Gratitude (9722182)

    2. 항해경로 : 출항지, 이집트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울산항(SK 제7부두)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14. Melanoplus differentialis (Thomas, 1865) (Appendix Fig. 1-22)

    1) 분류학적 정보

    1. 분류학적 위치 : Acrididae, Orthoptera

    2. 분포 : 미국 (Pfadt, 1994)

    3. 식성 : 식식성. 광식성(Pfadt, 1994)

    4. DNA 바코드 정보 : NCBI accession no. MT129394

    2) 검출 표본 정보

    1. 표본 번호(S/N) : 0259

    2. 검출 일자 : 2018년 8월 5일

    3. 검출시 표본 상태 (생/사) : 생

    3) 선박 항해 정보

    1. 선박명 (선박번호) : STI Duchessa (9669938)

    2. 항해경로 : 출항지, 호주 > 경유지, 없음 > 입항지, 한국 온산항(S-Oil F-1)

    4) 침입 정보

    1. 침입 형태 : 편승(hitchhiking)

    2. 관련 국제 협약 :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1997)

    3. 검역 해충 목록 등재 여부 : 미등재, 잠재적 검역 해충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축산검역본부 학술연구용역과제(과제번호: PQ20180B028-SP)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습니다.

    KSAE-59-2-117_A1.gif

    The hitchhiker insect pests not distributed in Korea from foreign vessels. Amata edwardsii : 1; Lemyra rhodophiloides : 2, 3; Lymantria xylina : 4; Malacosoma dentata : 5, 6, 7; Parasa pastoralis : 8; Noctua pronuba : 9; Euhampsonia serratifera : 10, 11, 12; Syntypistis viridipicta : 13; Arippara disticha : 14; Psilogramma lukhtanovi : 15; Neochauliodes meridionalis : 16; Chondracris rosea : 17, 18, 19, 20; Cyrtacanthacris tatarica : 21; Melanoplus differentialis : 22 (The number taking photo with body is sample no.).

    Summary on data sheets of the not-distributed hitchhiker insect pests

    Reference

    1. Altschul, S.F. , Gish, W. , Miller, W. , Myers, E.W. , Lipman, D.J. ,1990.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J. Mol. Biol. 215, 403-410.
    2. Armstrong, K.F. , Ball, S.L. ,2005. DNA barcodes for biosecurity: invasive species identification.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0, 1813-1823.
    3. Barnes, E.E. , Gosnell, S. , Hallagan, C. , Otten, K.E. , Slayter, L. , Murphy, S.M. ,2016. Performance of western tent caterpillar (malacosoma californicum) on two common host plants, including a new host plant record. J. Lepid. Soc. 70, 277-282.
    4.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 (CABI),2019. Common yellow underwing moth - Noctua pronuba. Plantwise Knowledge Bank. https://www.plantwise.org/knowledgebank/datasheet/36417 (accessed on 31 January, 2019).
    5. Chang, Y.C. , Weng, Y.C. ,1985. Morphology, life habit, outbreak and control of casuarina tussock moth (Lymantria xylina Swinhoe). Quart. J. Chinese Forest 18, 29-36.
    6. Chao, J.T. , Lu, S.S. , Chen, Y.M. , Jaung, L.M. , Koh, C.N. , Yeh, W.C. ,2001. How fecund is Lymantria xylina Swinhoe (Lepidoptera: Lymantriidae) in Taiwan? Taiwan J. For. Sci. 16, 259-266.
    7. Cigliano, M.M. , Braun, H. , Eades, D.C. , Otte, D. ,2020. Orthoptera Species File, ver. 5.0. http://Orthoptera.SpeciesFile.org (accessed on 31 January, 2020).
    8.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2002. Alien species that threaten ecosystems, habitats or species. COP 6 Decisions. https://www.cbd.int/decision/cop/?id=7197 (accessed on 31. January, 2020).
    9. deWaard, J.R. , Mitchell, A. , Keena, M.A. , Gopurenko, D. , Boykin, L.M. , Armstrong, K.F. , Pogue, M.G. , Lima, J. , Floyd, R. , Hanner, R.H. , Humble, L.M. ,2010. Towards a global barcode library for Lymantria (Lepidoptera: Lymantiinae) tussock moths of biosecurity concern. PLoS ONE. 5, e14280.
    10. Difonzo, C. , Russell, H. ,2010. Noctua pronuba (Lepidoptera: Noctuidae): An outbreak in emails. J. Integ. Pest Mngmt. 1, 1-6.
    11. Eitschberger, U. ,2001. Neubeschreibungen von arten in der Gattung Psilogramma Rothschild & Jordan, 1903 (Lepidoptera, Sphingidae). Neue Ent. Nachr. 1, 1-63.
    12. Follett, P.A. , Neven, L.G. ,2006. Current trends in quarantine entomology. Annu. Rev. Entomol. 51, 359-385.
    13. Folmer, O. , Black, M. , Hoeh, W. , Lutz, R. , Vrijenhoek, R. ,1994. DNA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from diverse metazoan invertebrates. Mol. Mar. Biol. Biotechnol. 3, 294–299.
    14. Hebert, P.D.N., Cywinska, A. , Ball, S.L. , deWaard, J.R. ,2003.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 Roy. Soc. B. 270, 313-321.
    15. Hebert, P.D.N., Penton, E.H. , Burns, J.M. , Janzen, D.H. , Hallwachs, W. ,2004. Ten species in one: DNA barcoding reveals cryptic species in the neotropical skipper butterfly Astraptes fulgerator. Proc. Natl. Acad. Sci. USA. 101, 14812-14817.
    16. Hulme, P.E. ,2009. Trade, transport and troble: managing invasive species pathways in an era of globalization. J. Appl. Ecol. 46, 10-18.
    17. Humble, L.M. , Allen, E.A. ,2006. Forest biosecurity: alien invasive species and vectored organisms. Can. J. Plant Pathol. 28, S256-S269.
    18.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1997. The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new revised text. https://www.ippc.int/static/media/files/publications/en/2013/06/03/13742.new_revised_text_of_the_intern ational_plant_protectio_201304232117en.pdf (accessed on 31 January, 2020).
    19. Johnston, E.L. , Piola, R.F. , Clark., G.F. ,2009. Chapter 7. The Role of Propagule Pressure in Invasion Success, in: Rilov, G., Crooks, J.A. (Eds.), Biological invasions in marine ecosystems. Springer- Verlag, Berlin, pp. 133-151.
    20. Kang, T.H. , Kim, S. , Hong, K.J. , Lee, H.S. ,2019. DNA barcoding in quarantine inspection: A case study on quarantine insect monitoring for Lepidoptera obtained through quarantine inspection on foreign vessels. Mitochondrial DNA Part B. 4, 43-48.
    21. Kang, T.H. , Lee, K.S. , Lee, H.S. ,2015. DNA barcoding of the Korean Lymantria Hübner, 1819 (Lepidoptera: Erebidae: Lymantriinae) for Quarantine Inspection. J. Econ. Entomol. 108, 1596-1611.
    22. Lee, K.S. , Kang, T.H. , Jeong, J.W. , Ryu D.P. , Lee, H.S. ,2015.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Lymantria (Lepidoptera: Erebidae: Lymantriinae) in Korea. Entomol. Res. 45, 225-234.
    23. Li, Y. , Chen, S.L. , Xie, Q.M. , Cai, Q.J. , Wu, J. , Li, Y.W. , Zheng, X.Q. , Zhu, Z.W. , Zhou, B.T. , Zheng, H.Q. ,1981. Studies on the lymantriid moth, Lymantria xylina Swinhoe. Acta Entomol. Sin. 24, 174-183.
    24. Lin, Y. ,1999. Amazing mountain trip. Lemyra rhodophilodes (Hampson, 1909). http://gaga.biodiv.tw/new23/9407/148.htm (accessed on 31. January, 2020).
    25. Liu, X. , Hayashi, F. , Yang, D. ,2010. The genus Neochauliodes Van der Weele (Megaloptera: Corydalidae) from Indochina, with description of three new species. Ann. Zool. 60, 109-124.
    26. Liu, Y. ,2011. Moth tracking-iber deer moth. http://twenjoymoths.blogspot.com/2011/08/blog-post.html (accessed on 31. January, 2020).
    27. Lockwood, J.L. , Cassey, P. , Blackburn., T. ,2005. The role of propagule pressure in explaining species invasions. Trends Ecol. Evol. 20, 223-228.
    28. Lu, H.F. , Chen, F.Q. , Wu, C.S. ,2012. Catalogue of ctenuchinina heppner, 1992 from China (Lepidoptera: Erebidae, Arctiinae). SHILAP Revta. Lipid. 40, 447-463.
    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2011. Biodiversity of Korean Peninsula. https://species.nibr.go.kr/index.do (accessed on 25. October, 2018).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2018.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http://kbr.go.kr (accessed on 25. October, 2018).
    3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2019.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vol. 3: Insects (Hexapoda). Designzip, Seoul, Korea.
    32. Pfadt, R.E. ,1994. Field guide to common western grasshoppersdifferential grasshopper, Melanoplus differentialis (Thomas). Wyo. AES. Bull. 912, 1-4.
    33. Pogue, M.G. , Schaefer., P.W. ,2007. A review of selected species of Lymantria Hübner [1819] (Lepidoptera: Noctuidae: Lymantriinae) from subtropical and temperate regions of Asia, including the descriptions of three new species, some potentially invasive to North America. Forest Health Technology Enterprise Team Technology Transfer, USDA, WA.
    34. Ratnasingham, S. , Hebert, P.D.N.,2007. BOLD: The barcode of life data system (www.barcodinglife.org). Mol. Ecol, Notes. 7, 355-364.
    35. Rivera-Gasperín, S.L. , Ardila-Camacho, A. , Contreras-Ramos, A. ,2019. Bionomics and ecological services of megaloptera larvae (Dobsonflies, Fishflies, Alderflies). Insects. 10, 86.
    36. Savela, M. ,2011. Lepidoptera and some other life forms, Arippara Walker, [1863]. https://www.nic.funet.fi/pub/sci/bio/life/insecta/lepidoptera/ditrysia/pyraloidea/pyralidae/pyralinae/arippara/#R3 (accessed on 25. October, 2018).
    37. Schintlmeister, A. ,1997. Moths of Vietnam with special reference to Mt. Fan-si-pan, family: Notodontidae. Entomofauna. 9: 33-248.
    38. Schintlmeister, A. ,2008. 272. Syntypistis viridipicta (Wileman, 1910). in: Palaearctic Macrolepidoptera, Vol. 1, Notodontidae. Apollo Books, Stenstrup, pp. 164 - 165.
    39. Schintlmeister, A. , Lai, F.C. ,2001. New and less known Notodontidae from mainland China (Insecta, Lepidoptera, Notodontidae). Neue Entomologische Nachrichten. 50, 1-141.
    40. Sharma, N. ,2012. Acridoidea (Orthoptera: Insecta) diversity of Dudhwa National Park, Uttar Pradesh, India. Rec. zool. Surv. India. 112, 33-42.
    41. Solovyev, A.V. , Witt, T.J. ,2009. The Limacodidae of Vietnam (Lepidoptera). Entomofauna. 16, 33-230.
    42. Sutrisno, H. ,2009. A new record of Euhampsonia roepkei holloway, 1983 (Lepidoptera: Notodontidae) from Gunung Halimun-Salak National Park. Zoo Indonesia 18, 41-43.
    43. Tamura, K. , Stecher, G. , Peterson, D. , Filipski, A. ,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44. Thomas, W. ,1990. Die gattung Lemyra (Lepidoptera, Arctiidae). Nachr. entomol. Ver. Apollo. Frankfurt. Suppl. 9, 1-83.
    45. Toy, S.J. , Newfield, M.J. ,2010. The accidental introduction of invasive animals as hitchhikers through inanimate pathways: A New Zealand perspective. Rev. Sci. Tech. Off. Int. Epiz. 29, 123-133.
    46. Turner, A.J. ,1904. A preliminary revision of the Australian Thyrididae and Pyralidae. Proc. R. Soc. Qld. 18, 109-199.
    47. Yonhap News Agency (YNA),2018. S. Korea to check industrial products to prevent fire ants from entering country. https://en.yna.co.kr/view/AEN20181223000300320?section=search(accessed on 31 January, 2019).
    48. Zhao, Z. ,1982. Lymantriidae, in: Iconographica Hetetocerorum Sinicorum. Science Press, Beijing, pp. 163-190.
    49. Zolothuhin, V.V. , Witt, T.J. ,2000. The Lasiocampidae of Vietnam. Entomofauna. 11, 25-104.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