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6 No.2 pp.107-120
DOI : https://doi.org/10.5656/KSAE.2016.11.0.076

Reassessment of the Taxonomic Statu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Based on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Wonhoon Lee, Gwan-Seok Lee1*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and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1Crop Protection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gslee12@korea.kr
November 6, 2016 November 15, 2016 February 16, 2017

Abstract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in the world. In the present study, the taxonomic status of B. tabaci and the number of species composing the B. tabaci complex were determined based on 550 COI gene sequences of B. tabaci. Genetic divergence within B. tabaci ranged from 0% to 27.8% (average 11.1%).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multiple species that may belong to different genera or subfamilies.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based on 217 COI gene sequences without duplications revealed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a total of 43 putative species, including a new species, Java. In addition, genetic divergence within nine species (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 indicates that 4.0% is reasonable to be used as a threshold of species boundaries within the B. tabaci complex, and species with high intraspecific genetic divergences can be related with cryptic species.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한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재평가

이 원훈, 이 관석1*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1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초록

담배가루이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농업 해충들 중의 하나이며, 전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종들로 구성된 종복합군(species complex) 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유전적 변이와 구성하는 종들의 수를 550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재평가하였 다. 담배가루이의 유전적 변이는 0% - 27.8%이며(평균 11.1%), 이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서로 다른 속들 혹은 아과들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 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217개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분석된 계통수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잠재적인 신종(Java)을 포함한 43개 종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운데 9종(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기존의 종구분 한계인 4.0%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을 구분하는데 적합하며, 높은 종내 유전변이를 보이 는 종들은 은밀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977

    서 론

    담배가루이(Bemisa tabaci (Gennadius, 1889) (노린재목: 가 루이과))는 전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농업 해충의 하나이다 (Brown et al., 1995; De Barro et al., 2000; De Barro et al., 2011). 이 종은 직접적으로 채소, 화훼, 두류, 목화 등을 포함 한 다양한 기주 식물들의 체관부를 흡즙하여 피해를 입히며 (Byrne and Bellows, 1991), 간접적으로는 식물성 바이러스 인 베고모바이러스(begomoviruses)를 매개하여(Brown, 1990; Brown, 2000)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De Barro et al., 2011). 현재, 담배가루이는 형태적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적어도 40종 이상이 포함된 ‘담배가루이 종복합군(species complex)’ 로 알려져 있다(Boykin et al., 2013; Boykin, 2014; Boykin and De Barro, 2014; Brown et al., 1995; De Barro et al., 2000; De Barro et al., 2011; Firdaus et al., 2013; Tay et al., 2012; Lee et al., 2013; Lee et al., 2016).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을 구성하는 종들은 종들간의 형태적 차이 또는 생물학적 차이들을 찾아내 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구분하 고 있다(Bedford, 1994; Costa and Brown, 1991; De Barro et al., 2011). 특히 1990년대 이후 allozymes,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icrosatellites, mitochondrial genes, nuclear genes 등에 대한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이 이용되어 왔으 나(De Barro et al., 2011), 현재는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내 또는 종간 변이를 정의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Dinsdale et al., 2010; Lee et al., 2013).

    2010년까지 담배가루이의 높은 종내 유전적 변이는 담배가 루이가 여러 개의 biotype으로 구성된 하나의 생물학적 종인지 아니면 여러 생물학적 종의 집단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만 들었다. 이러한 의문점에 대하여 Dinsdale et al. (2010)COI 유전자의 유전적 변이 3.5%를 종구분 한계(threshold of species boundary)로 설정하고, 담배가루이를 24개 종들로 구성된 종 복합군으로 정의하였다(Chowda-Reddy et al., 2012; Alemandri et al., 2012; Hu et al., 2011). 그 후, Lee et al. (2013)는 1,059개 COI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유전적 변이 4.0%를 새로운 종구분 한계로 제안하였으며,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31개의 종들로 구성됨을 보고하였다. 현재,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은 여러 개의 종들로 구성된 단계통(monophyletic) 그룹인지, 아니면 다른 속, 아과, 또는 과로 구성된 다계통(polyphyletic) 그룹인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Lee et al., 2013). 이러한 논란은 담 배가루이 COI 염기서열들의 유전적 변이가 0%-34%로 노린재 목의 다른 그룹에서 같은 속에 속하는 다른 종들간의 유전적 변 이(예, 진딧물 0-11%)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Dinsdale et al., 2010; Lee et al., 2011; Lee et al., 2013).

    2012년 이후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에 11개의 신종, China 4 (Hu et al., 2014), East Africa 1 (Legg et al., 2014), Pakistan (Ashfaq et al., 2014), Italy-Ru (Parrella et al., 2012), Morocco (Tahiri et al., 2013), Africa, Asia II 11, Asia II 12, Japan 1, Asia IV, Sub Saharan Africa 5 (Firdaus et al., 2013)이 보고되 어 현재까지 42개의 종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수치는 현재 까지 보고된 모든 COI 염기서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불확실한 실정이다(예, Dinsdale et al., 2010; Chowda-Reddy et al., 2012; Alemandri et al., 2012; Hu et al., 2011).

    본 연구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을 구성하는 종들의 종구분 한계를 설정하는 한편, 단계통 그룹으로 판단되는 잠재적인 새 로운 종을 확인하기 위해서 2016년 2월까지 GenBank에 보고 된 담배가루이 550개 COI 염기서열과 2013~2014년까지 국내 에서 채집된 개체로부터 새롭게 분석된 83개 COI 염기서열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각국에서 현재까지 보 고된 COI 염기서열들을 신속하게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써 담배 가루이 종복합군의 유전적 특성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시료 채집 및 담배가루이 COI 염기서열 선별

    시료는 우리나라 8개 도에서 2013년 2월부터 2014년 3월까 지 실시하였다: 강원도(GW), 경기도(GG), 전라남도(JN), 전라 북도(JB), 충청남도(CN), 경상남도(GN), 경상북도(GB), 제주 도(JJ). 특히, 한국과 일본에만 분포하는 JpL 담배가루이 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충 또는 약충을 채집하였다. 채집 관련 세부정보(지리정보, 기주식물, 채집날짜)는 Table 1 과 같다. 채집된 담배가루이 시료는 총 83개이며, 각각의 시료 들은 99% 에탄올에 보관하였다. 대조 표본은 국립농업과학원 곤충표본실에 보관 중이다. Genomic DNA 추출은 DNeasy® Blood & Tissue Kit (QIAGEN Inc., Dusseldorf, Germany)을 이용하였고, Genomic DNA 추출에 사용된 시료는 같은 집단 으로부터 추출한 한 개체를 이용하였다. PCR 증폭은 프라이머 세트, C1-J-2195 (5′-TTGATTTTTTGGTCATCCAGAAGT- 3′), TL2-N-3014 (5′-TCCAATGCACTAATCTGCCATATTA- 3′) (Simon et al., 1994)와 AccuPower® PCR PreMix (Bioneer,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94℃, 5분 처음 변성, 34회 사이클(94℃, 1분, 52℃, 1분, 72℃, 1분), 72℃, 5분 마지막 확장. PCR 생산물들은 전기영동 후에 아가로즈 젤에서 밴드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밴드들은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 Dusseldorf, Germany)를 이용해 서 정제하였다. PCR 생산물들은 ABI 3730xl sequencer (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해서 양방향으로 시퀀싱 하였다. 크로마토 그램 결과는 SeqManTMPro (version 7.1.0, 2006; DNAStar, Inc., Madison, Wisconsin, USA)에서 애매하거나 콘티그가 중 복된 것들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염기서열들은 pseudogenes을 피하기 위하여 각 시료별로 protein coding frame-shift에 대하 여 확인하였다(Zhang and Hewitt, 1996). Consensus 파일들은 Clustal X 1.83(Thompson et al., 1997)를 이용하여 얼라인하였다. 모든 염기서열들은 GenBank(Table 1의 accession numbers)에 보고하였다.

    또한, 2가지 키워드(Bemisa tabaci, COI)를 이용하여 Gen Bank (http://www.ncbi.nlm.nih.gov/genbank/)에서 담배가루 이로 보고된 3,531개의 COI 염기서열을 다운로드 받았다. 이 번 연구에서 새롭게 확보한 JpL종의 83개 COI 염기서열들과 함께 총 담배가루이 3,614개의 COI 염기서열을 MEGA 5.0 (Tamura et al., 2011)을 이용하여 neighborjoining (NJ)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복되는 haplotypes는 TCS (Clement et al., 2000)를 이용하여 점검하였으며, 총 550개 COI 염기서열들 (3,614개 COI 염기서열들, 15.2%)이 선택되었다.

    종복합군의 종 개수 확인

    현재까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으로 보고된 42종간의 계통 관계를 뚜렷이 보여주기 위하여 각 종당 COI 염기서열을 10개 미만으로 제한하였다. 총 42종 217개 COI 염기서열이 선택되 었다. 아웃 그룹으로 선택한 5개 종(Bemisia atriplex, Bemisia subdecipiens, Bemisia afer, Aleurocanthus camelliae, Aleurodicus dispersu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ucleotide 염기서열의 정리는 CLUSTALX를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Thompson et al., 1997). 계통관계는 HKY85 model 을 기반으로 한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이용한 PhyML 3.0 (Guindon et al., 20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IBMH SPSS Statistics, Ver 20, IBM)의 정준상관분 석(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CDA))은 종별 그룹핑 결 과에 대한 도식화를 위해 사용하였다. CDA는 정확한 개연성의 수치를 제공하는 비모수 순열검증(nonparametric test)을 사용 하여 종 집합 구성에서의 차이를 탐색하며, 다양한 시료 구성단 위들의 유사성 혹은 비유사성을 도식화해서 보여주는 방법이 다. 매트릭스는 MEGA 5.0 (Tamura et al,. 2011)의 Kimura 2-parameter (K2P) distance model (Kimura, 1980)를 이용하여 217 COI 염기서열들의 23,436개 pairwise genetic distances를 바탕으로 구축하였다.

    종내 및 종간 유전적 변이 비교

    총 217개 COI 염기서열은 계통수를 기반으로 총 43종으로 분류되었으며(결과 참고), 이 가운데 42종(Africa, Asia I, Asia I-India, Asia II 1, Asia II 2, Asia II 3, Asia II 4, Asia II 5, Asia II 6, Asia II 7, Asia II 8, Asia II 9, Asia II 10, Asia II 11, Asia II 12, Asia III, Asia IV, Australia, Australia/Indonesia, China 1, China 2, China 3, China 4, East Africa 1, Indian Ocean, Italy, Italy-Ru, Japan 1, JpL, Mediterranean, Middle East Asia Minor 1, Middle East Asia Minor 2, Morocco, New world, New world 2, Pakistan, Sub Saharan Africa 1, Sub Saharan Africa 2, Sub Saharan Africa 3, Sub Saharan Africa 4, Sub Saharan Africa 5, Uganda)은 이미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종이었으며, 또한 1종(Java)은 아직 보고된 적이 없는 잠재적인 신종이었다 (결과 참고). 총 43종 중 10종(Africa, Asia I-India, Asia II 2, Asia II 4, Asia II 12, China 4, East Africa 1, Java, Pakistan, Uganda)은 오직 한 개의 haplotype이기 때문에 제외하고, 종내 유전적 변이는 남은 33개의 종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종간 유 전적 변이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종들에 대하여 1대1 비교분석 을 하였다. 계통수를 기반으로 20개의 가까운 종으로 구성된 11 쌍의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였다(결과 참고): Asia I−Java, China 1China 2, Asia II 1−Asia II 2, Asia I−Asia VI, Asia II 3Asia II 4, Asia II 5Asia I-India, Sub Saharan Africa 1− Sub Saharan Africa 5, Middle East Asia Minor 1Middle East Asia Minor 2, Italy−Morocco, MediterraneanMiddle East Asia Minor 2, New World−New World 2.

    모든 종내 유전적 변이와 종간 유전적 변이 분석은 MEGA 5.0 (Tamura et al., 2011)의 K2P distance model (Kimura, 1980) 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 과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 개수

    담배가루이 217개 COI 염기서열과 가루이과 5종의 COI 염 기서열(아웃 그룹)을 기반으로 분석된 계통수는 담배가루이가 43개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보여준다(Fig. 1). 이들 그룹들 은 기존에 보고된 6개 논문에 따라 이름을 부여하였다(Dinsdale et al., 2010; Chowda-Reddy et al., 2012; Alemandri et al., 2012; Hu et al., 2011; Ueda et al., 2008; Lee et al. 2013). 계통수는 기 존에 보고된 계통수들과 유사한 topology를 보였다(Lee et al., 2013). 예를 들어, 5종(Indian Ocean, Mediterranean, Middle East Asia Minor 1, Middle East Asia Minor 2, East Africa 1)은 100% posterior probability로 클러스터(cluster)를 이루었고, 2 종(Asia II 3, Asia II 4)과 2종(China 1, China 2)은 각각 80%와 97% posterior probability로 클러스터를 이루었다. 이번 연구 에서 새롭게 추가된 Asia II 12Asia II 10과 100% posterior probability로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일부 종들은 기 존 연구들과 다른 유연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에서 New WorldNew World 2와 클러스터를 이루었지만, Dinsdale et al. (2010)에서는 Bemisia atriplex와 클러스터를 이루었다.

    Fig. 2는 pairwise genetic distances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담 배가루이 43종에 대한 정준상관분석(CDA)의 1번째(X), 2번째 (Y) 축을 보여준다. 도표에서 1번째축(X)은 분명하게 43종을 2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준다. 5종(Middle East Asia Minor 1, Middle East Asia Minor 2, Indian Ocean, East Africa 1, Mediterranean)의 plots은 -20보다 낮은 스코어를 보이며 (negative scores), 나머지 38종의 plots은 -20보다 높은 스코어 를 보인다(negative and positive scores). 2번째축(Y)에서는 시 료들이 성공적으로 43개의 종으로 나누어진다. CDA는 모든 염기서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되었으며, 이 분류 방법의 유 용성은 leave-one-out cross-validation method를 이용하여 분 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분류 결과는 정확한 분류의 비율이 100%인 것 을 보여주며, 이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43종으로 나뉘어지 는 것을 의미한다(Table 2).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내 유전적 변이

    담배가루이 550개 COI 염기서열들의 유전적 변이는 0% - 27.8% (평균 11.1%)의 범위를 보였다. 분석한 시료는 크게 3개 의 그룹(group 1, group 2, group 3)으로 구분된다(Fig. 3). 217 개의 COI 염기서열로부터 유전적 변이는 2개 이상의 서로 다 른 염기서열을 가지는 33개 종들에 대한 종내 유전적 변이와 근 연 종들간의 종간 유전적 변이를 K2P distance model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Fig. 4; Table 3). 종간 분석의 11개 쌍은 앞의 계 통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택되었다(Table 3).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0.2%-3.9%의 범위를 보였다(Fig. 4; Table 3). 33개 종들 중에서 Sub Saharan Africa 5는 가장 낮은 평균 종내 유전적 변이인 0.2%를 보인 반 면, Australia는 가장 높은 평균 종내 유전적 변이인 3.10%를 보 였다. 5종(New world 2 (평균 2.2%), Asia II 10 (평균 2.27%), Asia II 6 (평균 2.38%), New world (평균 2.58%), Australia (평 균 3.1%))을 제외한 대부분 종들은 2.0%보다 낮은 평균 종내 유전적 변이들을 보였다. 하지만, 9종(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은 기존에 보고된 종구분 한계 인 3.5%보다 높고 4.0%보다 낮은 종내 유전적 변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높은 종내 유전적 변이를 보이는 8종 안에는 잠재적 으로 은밀종(cryptic species)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able 3).

    종간 유전적 변이 또한 근연 종들로 구성된 11개 쌍 사이에 서 다양하였다(Fig. 4; Table 3). 이들 중 Asia I-Java이 가장 높 은 평균 종간 유전자 변이인 16.33% (범위 14.6%-17.6%)를 보 였으며, 반대로 Chian 1-China 2는 가장 낮은 평균 종간 유전자 변이인 3.8% (범위 2.9%-4.9%)를 보였다. 4개 쌍(Mediterranean-Middle East Asia Minor 2, China 1-China 2, Middle East Asia Minor 1-Middle East Asia Minor 2, Italy-Morocco)은 4.0% 종 구분 한계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나머지 7종의 유전변이 는 모두 4.0% 종구분 한계보다 보다 높았다(Fig. 4; Table 3).

    고 찰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특성

    이번 연구 분석결과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특 성이 다른 노린재목 그룹들에 비해 매우 특이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DNA 바코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종내 유전적 변이를 0%-2%로 보고하고 있다(Lee et al., 2011). 또한, 같은 속 내의 종들간 유전적 변이, 같은 과 내의 종들간 유전적 변이는 각각 0%-9%, 8%-17%라고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3). 이번 연구 에서 담배가루이의 종내 유전적 변이가 상당히 넓은 범위를 가 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다른 노린재 그룹들과 비교 하였을 때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여러 개의 속들 혹은 아과들 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재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높은 유전적 변이에도 불 구하고 다계통이라는 것을 증명할 확실한 증거는 보고되지 않 았다. 이번 연구에서 분석된 계통관계는 다른 Bemisia속 종들 이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어떤 종과도 집단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록 이번 연구결과의 계통수에서 담배가루 이를 포함한 Bemisia속 종들의 resolution이 충분하지는 않지 만,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이 다른 Bemisia속 종들과는 뚜렷이 구분되는 기원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앞으로 담배가루 이 종복합군이 다른 Bemisia속 종들과 측계통군인지 아닌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담배가루이 217개 COI 염기서열들을 기반으로 한 계통수와 CDA 분석 결과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은 43개 그룹으로 나뉘 어지며, 이들 43개 그룹 중 42개 그룹은 기존의 연구 논문에서 보고된 ‘종(species)’들과 일치되었다. 다만, 나머지 한 개의 그 룹(Java)은 현재까지 보고된 어떤 종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Java 그룹은 원래 Asia I 종으로 보고되었으며, 채집지역은 필 리핀 Rembang (Meteseh, Kaliori), 기주식물은 Ipomoea aquatica 로 기록되어있다. Fig. 1에서 Java종은 13종(Asia I-India, Asia II 1, Asia II 2, Asia II 3, Asia II 4, Asia II 5, Asia II 6, Asia II 7, Asia II 8, Asia II 9, Asia II 10, Asia II 11, Asia II 12)과 50% posterior probability 클러스터를 보였지만, 이들과는 별도의 종으로 분지되었다. Fig. 2에서도 Java종은 위의 13종들과 확 연히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계통수와 CDA 결 과를 통해 이 그룹을 새로운 종(Java)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총 43개 종들 중에 32종은 Dinsdale et al. (2010) 이후로 여 러 분자연구 논문들에서 일부 종들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만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Lee et al. (2013) 이후 처 음으로 11종(Africa, Asia II 11, Japan 1, Asia IV, China 4, East Africa 1, Pakistan, Italy-Ru, Morocco, Jawa, Sub Saharan Africa 5)을 포함하여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총 43종에 대한 유연관계 분석을 포함하였다.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구분 한계가 존재하는가?

    Dinsdale et al. (2010)은 담배가루이 24종을 구분하기 위한 종구분 한계를 3.5%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Lee et al. (2013)는 31종의 담배가루이를 바탕으로 종구분 한계를 4.0%로 수정해 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9종 (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의 종내 유전적 변 이가 3.5% 이상 4.0% 미만임을 확인하였다(Fig. 4). 비록 4개 쌍(Mediterranean-Middle East Asia Minor 2, China 1-China 2, Middle East Asia Minor 1-Middle East Asia Minor 2, Italy-Morocco)은 종간 유전적 변이의 범위가 넓으나(범위 2.9%- 7.3%), 이들의 평균값들은 4.0%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Lee et al. (2013)이 제시한 4.0%가 종구분 한계로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 알려진 종구분 한계인 3.5% 또는 4.0%는 아마도 사 용한 COI 염기서열들의 데이터 세트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원 인일 것이다. 예를 들어서, Asia II 7 경우, Dinsdale et al. (2010) 는 5개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종내 유전적 변이를 0.3%- 2.9%로 계산하였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10개 COI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종내 유전적 범위가 0.7%-3.6%인 것으로 확 인하였다. 이는 종구분 한계는 분석에 이용한 COI 염기서열들 의 숫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번 연구 를 통해 시료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4.0% 종구분 한계가 담배 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을 구분하는데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43개 종들로 구성됨을 확인하였고, 이 가운데 잠재적 신종 Java를 새롭게 발 견하였다. 담배가루이 종들간의 유전적 변이는 다른 노린재 그 룹의 속간 혹은 아과간의 유전적 변이 비율과 비슷하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종구분 한계인 4.0%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일부 종들을 구분하는데 적합하며, 높은 종내 유전 변이를 보이는 종들은 은밀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사업(과제번호 PJ011977)과 농림축산식품부(과제번호 311058-05-3-CG000)의 지원에 의 하여 이루어진 것입니다.

    Figure

    KSAE-56-107_F1.gif

    Phylogenetic tree based on 217 COI gene sequences of Bemisia tabaci estimated using maximum likelihood analysis.

    KSAE-56-107_F2.gif

    Results of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based on 23,436 pairwise genetic distances for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43 species belonging to the Bemisia tabaci complex.

    KSAE-56-107_F3.gif

    Distribution of genetic divergence estimates for 550 COI gene sequences of Bemisia tabaci.

    KSAE-56-107_F4.gif

    Comparison of intraspecific genetic divergences in 33 species and interspecific genetic divergences in 11 species pairs.

    Table

    Collection of JpL specie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in Korea from 2013 to 2014

    Classification table showing the reclassification of the original visits into groups, and the success and misclassification rates of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Intraspecific genetic divergences about 33 species and interspecific genetic divergences between 11 species pairs

    Reference

    1. Alemandri V , De Barro P , Bejerman N , Arguello Caro EB , Dumon AD , Mattio MF , Rodriguez SM , Truoli G (2012) Species within the Bemisia tabaci (Hemiptera: leyrodidae) complexin soybean and bean crops in Argentina , J. Econ. Entomol, Vol.105 ; pp.48-53
    2. Ashfaq M , Hebert PD , Mirza MS , Khan AM , Mansoor S , Shah GS , Zafar Y (2014) DNA barcoding of Bemis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reveals southerly expansion of the dominant whitefly species on cotton in Pakistan , PLoS One, Vol.9 ; pp.-e104485
    3. Bedford ID , Briddon R , Brown JK , Rosell RC , Markham PG (1994) Geminivirus-transmiss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emisa tabaci (Gennadius) biotypes from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 Ann. Entomol. Soc. Am, Vol.125 ; pp.311-325
    4. Boykin LM , Bell CD , Evans G , Small I , De Barro P (2013) Is agriculture driving the diversification of the Bemisia tabaci species complex (Hemiptera: Sternorrhyncha: Aleyrodidae)? Dating, diversification and biogeographic evidence revealed , BMC Evol. Biol, Vol.13 ; pp.-228
    5. Boykin LM (2014) Bemisia tabaci nomenclature: lessons learned , Pest Manag. Sci, Vol.70 ; pp.1454-1459
    6. Boykin LM , De Barro P (2014) A practical guide to identifying members of the Bemisia tabaci species complex: and other morphologically identical species , Front. Ecol. Evol.,
    7. Brown J , Frohlich D , Rosell R (1995) The sweetpotato or silverleaf whiteflies: biotypes of Bemisa tabaci or a species complex? , Annu. Rev. Entomol, Vol.40 ; pp.511-534
    8. Brown JK (1990) An update on the whitefly-transmitted geminiviruses in the Americas and the Caribbean Basin , FAO Plant Prot. Bull, Vol.39 ; pp.5-23
    9. Brown JK (2000) Molecular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and global tracking of whitefly vector-Begomovirus complexes , Virus Res, Vol.71 ; pp.233-260
    10. Byrne DN , Bellows Jr TS (1991) Whitefly biology , Ann. Rev. Entomol, Vol.36 ; pp.431-457
    11. Chowda-Reddy RV , Kirankumar M , Seal SE , Muniyappa V , Valand GB , Govindappa MR , Colvin J (2012) Bemisia tabaci Phylogenetic Groups in India and the Relative Transmission Efficacy of Tomato leaf curl Bangalore virus by an Indigenous and an Exotic Population , J. Integr. Agric, Vol.11 ; pp.235-248
    12. Clement M , Posada D , Crandall KA (2000) TCS: a computer program to estimate gene genealogies , Mol. Ecol, Vol.9 ; pp.1657-1659
    13. Costa HS , Brown JK (1991) Variation in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 esterase patterns among populations of Bemisa tabaci (Genn) and the association of one population with silverleaf symptom development , Entomol. Exp. Appl, Vol.61 ; pp.211-219
    14. De Barro PJ , Driver F , Trueman JW , Curran J (2000)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world populations of Bemisa tabaci(Gennadius) using ribosomal ITS1 , Mol. Phylogenet. Evol, Vol.16 ; pp.29-36
    15. De Barro PJ , Liu SS , Boykin LM , Dinsdale AB (2011) Bemisa tabaci: a statement of species status , Annu. Rev. Entomol, Vol.56 ; pp.1-19
    16. Dinsdale A , Cook L , Riginos C , Buckley YM , De Barro P (2010) Refined Global Analysis of Bemisa tabaci (Hemiptera: Sternorrhyncha: Aleyrodoidea: Aleyrodida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1 to Identify Species Level Genetic Boundaries , Ann. Entomol. Soc. Am, Vol.103 ; pp.196-208
    17. Firdaus S , Vosman B , Hidayati N , Jaya Supena ED , Visser RG , van Heusden AW (2013) The Bemisa tabaci species complex: addition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 Insect Sci, Vol.20 ; pp.723-733
    18. Guindon S , Dufayard JF , Lefort V , Anisimova M , Hordijk W , Hordijk W , Gascuel O (2010) New algorithms and methods to estimate maximum-likelihood phylogenies: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PhyML 3.0 , Syst. Biol, Vol.59 ; pp.307-321
    19. Hu J , De Barro P , Zhao H , Wang J , Nardi F , Liu SS (2011) An Extensive Field Survey Combined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Reveals Rapid and Widespread Invasion of Two Alien Whiteflies in China , PLoS ONE, Vol.6 (1) ; pp.-e16061
    20. Hu J , Jiang ZL , Nardi F , Liu YY , Luo XR , Li HX , Zhang ZK (2014) Members of Bemis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cryptic species and the status of two invasive alien species in the Yunnan Province (China) , J. Insect Sci, Vol.14 ; pp.1-8
    21.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 J. Mol. Evol, Vol.16 ; pp.111-120
    22. Lee W , Kim H , Lim J , Choi Hr , Kim Y , Kim YS , Ji JY , Foottit RG , Lee S (2011) Barcoding aphids (Hemiptera: Aphididae) of the Korean Peninsula: updating the global data set , Mol. Ecol. Resour, Vol.11 ; pp.32-37
    23. Lee W , Park J , Lee GS , Lee S , Akimoto S (2013) Taxonomic status of the Bemisa tabaci complex (Hemiptera: Aleyrodidae) and reassessment of the number of its constituent species , PLoS One, Vol.8 ; pp.-e63817
    24. Lee W , Kim CS , Lee KY , Lee GS (2016) The JpL species of the Bemisia tabaci complex in Korea: Detection by an extensive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COI sequence variability , J. Asia Pac. Entomol, Vol.19 ; pp.23-29
    25. Legg JP , Sseruwagi P , Boniface S , Okao-Okuja G , Shirima R , Bigirimana S , Gashaka G , Herrmann HW , Jeremiah S , Obiero H , Ndyetabula I , Tata-Hangy W , Masembe C , Brown JK (2014) Spatio-temporal patterns of genetic change amongst populations of cassava Bemisa tabaci whiteflies driving virus pandemics in East and Central Africa , Virus Res, Vol.186 ; pp.61-75
    26. Parrella G , Scassillo L , Giorgini M (2012) Evidence for a new genetic variant in the Bemisa tabaci species complex and the prevalence of the biotype Q in southern Italy , J Pest Sci, Vol.85 ; pp.227-238
    27. Tahiri A , Halkett F , Granier M , Gueguen G , Peterschmitt M (2013) Evidence of gene flow between sympatric populations of the Middle East-Asia Minor 1 and Mediterranean putative species of Bemisa tabaci , Ecology and Evolution, Vol.3 ; pp.2619-2633
    28. Tamura K , Peterson D , Peterson N , Stecher G , Nei M ,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 Mol. Biol. Evol, Vol.28 ; pp.2731-2739
    29. Tay WT , Evans GA , Boykin LM , De Barro PJ (2012) Will the real Bemisia tabaci please stand up , PLoS ONE, Vol.7 (11) ; pp.-e50550
    30. Thompson JD , Gibson TJ , Plewniak F , Jeanmougin F , Higgins DG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 Nucleic Acids Res, Vol.25 ; pp.4876-4882
    31. Ueda S , Kitamura T , Kijima K , Honda KI , Kanmiya K (2008) Distribu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stinct Asian population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n Japan , J. Appl. Entomol, Vol.133 ; pp.355-366
    32. Zhang DX , Hewitt GM (1996) Nuclear integrations, challenges for mitochondrial DNA markers , Trends Ecol. Evol, Vol.11 ; pp.247-251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