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6 No.1 pp.61-67
DOI : https://doi.org/10.5656/KSAE.2017.01.1.083

Mating Disruption of Grapholita molesta by RNA Interference of a Fatty Acid Desaturase Expressed in Adult Abdomen

Kyusoon Kim, Chung Ryul Jung1, Chang Yeol Yang2, Gimyeon Kwon3, Yonggyun Kim*
Department of Plant Medical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1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Yeongju 36040, Korea
2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Korea
3Bio Utilization Institute, Andong 36728, Korea
Corresponding author:hosanna@anu.ac.kr
November 17, 2016 January 13, 2017 February 8, 2017

Abstract

Two major sex pheromone components (Z-8-dodecenyl acetate and E-8-dodecenyl acetate) are known in the peach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From a putative biosynthetic pathway of these sex pheromone components, delta 10 desaturase (Δ10 DES) has been proposed to play a crucial role in synthesizing a species-specific stereoisomer of the double bond. However, its molecular identity was not known. This study determined a putative desaturase (Gm-comp1575) as a Δ10 DES candidate from G. molesta transcriptome constructed from the sex pheromone gland. Its open reading frame encodes 370 amino acid sequence with a predicted molecular weight at 43.2 kDa and isoelectric point at 8.77. It was predicted to have four transmembrane domains and six glycosylation sites at N-terminal or cytosolic domains. A phylogenetic analysis with its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indicated that Gm-comp1575 is closely related with known Δ10 DES genes of other insects. Gm-comp1575 transcript was detected in female adults at sex pheromone gland and other abdominal tissues. RNA interference of Gm-comp1575 significantly reduced attractiveness of virgin females in apple orchard compared to control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m-comp1575 is associated with sex pheromone biosynthesis of G. molesta.


복숭아순나방 성충 복부에서 발현하는 불포화효소의 RNA 간섭과 교미교란

김 규순, 정 충렬1, 양 창열2, 권 기면3, 김 용균*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1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2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3생물이용연구소

초록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두 가지 주요 성페로몬 성분(Z-8-dodecenyl acetate and E-8-dodecenyl acetate)을 갖고 있다. 이 성 페로몬 성분의 생합성 과정 분석은 포화지방산의 10번 탄소에 이중결합을 합성하는 불포화효소(Δ10 DES)가 종 특이적 광학이성체 형성에 필수 적이라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효소의 분자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의 전사체에서 Δ10 DES로 추정된 불포화효소(Gm-comp1575)의 단백질 기능 영역을 분석하였다. Gm-comp1575 유전자는 370개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암호하고 있으며 분자량은 약 43.2 kDa 그리고 등전위점(pI)은 8.77로 추정되었다. 이 불포화효소는 4개의 막투과영역을 지니고 있으며, 6개의 탄수화물 결합 위 치가 아미노 말단과 세포내 영역에서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자계통분석은 Gm-comp1575가 다른 종에서 알려진 Δ10 DES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Gm-comp1575 전사체는 암컷 성페로몬 샘 및 다른 복부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RNA 간섭 처리는 처녀 암컷으로 하여금 사과원에서 수컷을 유인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Gm-comp1575가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과 관련 이 있는 유전자라고 제시하고 있다.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756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Hallman, 2004) 현재는 전 세계 거의 모든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사과를 비롯한 배, 복숭아 등의 과 실류와 함께 장미과 식물 등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Rothschild and Vicker, 1991; Knight et al., 2014). 특별히 과 실 내부를 가해하여 이들 농작물의 일차피해를 주게 된다. 이러 한 과실 내부의 섭식 행동은 살충제 살포에 따른 접촉을 어렵게 하여 약제 방제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 해충의 방제 는 과실 밖에서 활동하는 시기인 성충태가 주목 받게 된다.

    복숭아순나방의 교미신호는 성페로몬에 의존하며, 하루 중 일정한 시각에 수컷은 성페로몬 신호에 유인된다(Kim et al., 2011).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은 Z-8-dodecenyl acetate (Z8- 12:Ac)와 E-8-dodecenyl acetate (E8-12:Ac) 및 Z-8-dodecenol (Z8-12:OH)를 가지며 95:5:1의 조성을 가진다(Han et al., 2001; Yang et al., 2002). 이들 성페로몬의 생합성 과정을 밝히기 위 해 성페로몬 샘의 전사체가 RNA-Seq 기술로 분석되었다(Jung and Kim, 2014). 성페로몬 샘 전사체는 지방산 생합성에 관여 하는 효소들의 전사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복숭아 순나방 성페로몬이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또는 팔미틱산 (palmitic acid)과 같은 포화지방산 전구체에서 β-산화를 통해 사슬 길이를 줄이고 다시 이중결합 형성, 환원반응 및 아세틸화 를 통해 생합성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Jung and Kim, 2014). 특히 포화지방산 전구체에서 10번 탄소에 이중결합을 주는 불 포화효소(Δ10 DES)의 활성이 궁극적으로 종 특이적 성페로몬 생합성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Jung and Kim, 2014). 이러한 전사체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불포화효 소 유전자를 보고하였으며, 이 가운데 Gm-comp1575 전사체가 Δ10 DES의 후보로 추정하였으나, 성페로몬 생합성에 연관된 기능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Gm-comp1575 유전자에 대해서 분자구조 및 기 능 연구를 통해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생합성에 관여하는 지 를 밝히는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RNA 간섭 기술을 통한 성페 로몬 생합성 억제 효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복숭아순나 방의 새로운 교미교란 기술을 제시하려 한다.

    재료 및 방법

    복숭아순나방 사육

    안동지역 사과밭에서 채집한 유충을 실내에서 3년 이상 사 과를 먹이로 누대 사육하였다. 실내 사육 조건은 온도 25±2℃, 상대습도 60±20%, 광주기 16:8 h (명:암)이었다. 성충의 먹이 는 5% 꿀물을 공급하였다. 성충의 산란은 기주 사과 또는 매끄 러운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유도하였으며, 부화하는 유충은 사 과로 유인하여 수거하고 차세대 사육에 이용하였다.

    Gm-comp1575 유전자 서열 분석

    Gm-comp1575는 복숭아순나방 전사체(GenBank accession number: PRJNA194591)로 부터 염기서열을 얻었다. 염기서열 을 바탕으로 Lasergene (DNASTAR, Madison, WI, USA)의 EditSeq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pen reading frame의 아미노산 서열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아미노산 서열은 ExPASy (www. expasy.org)의 단백질체 분석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체막 투과영역 및 N/O-glycosylation 위치를 추정하였다.

    RNA 추출 및 cDNA 제조

    복숭아순나방의 발육시기별(유충, 번데기 및 성충) 그리고 암컷 성충 복부 부위별 총 RNA를 Trizol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 (반응 당 1 μg) 는 RT-PREMIX (Intronbi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cDNA 를 제조하였다.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나선형 RNA (dsRNA)을 이용하였다. Gmcomp1575 유전자에 특이적 양쪽 프라이머 5' 말단에 T7 프로 모터 서열을 연장하여 제조한 프라이머(5'-TAATACGACTCA CTATAGGGCAGCATTCTGCTTCGTGTTG-3', 5'-TAATAC GACTCACTATAGGGGGGAATGTGTGGTGGTAGTT-3') 를 이용하여 247 bp 크기의 PCR 결과물을 얻었다. 이때 PCR 반응은 복숭아순나방 암컷 cDNA를 주형으로 94℃에서 1분간 변성조건, 50℃에서 1분간 프라이머 결합조건 그리고 72℃에 서 1분간 사슬연장 조건을 35회 반복하여 이뤄졌다. 얻어진 PCR 결과물을 10배 희석하여 Megascript RNAi 키트(Ambion, Austin, TX, USA)를 이용하여 37℃에서 3시간 반응하여 dsRNA 를 제조하였다. 포함된 주형 DNA와 단일사슬형 RNA를 제거 하고, 순수한 dsRNA는 GeneQuant 분광광도계(Amersham, Science Park, Singapore)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dsRNA 를 대상 곤충에 주입하기 전에 동일 부피의 Metafectene Pro (Biontex, Plannegg, Germany)를 혼합하여 리포좀을 형성하게 하였다. 이 리포좀 1 μL (300 ng dsRNA)를 복숭아순나방 번데 기에 주입하였다. 주입될 번데기는 우화 1일전의 발육시기로 서 황색으로 발달된 날개의 모습과 흑색의 겹눈 형태로 판단하 였다. dsRNA의 미량주입은 미량주입장치(PV830 Pneumatic Pico Pump, World Precision Instruments, Sarasota, FL, USA) 를 이용하였다. 대조구 RNA 간섭 처리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dsRNA (Park and Kim, 2010)를 이용하였다.

    RT-PCR과 RT-qPCR

    복숭아순나방 발육시기별 그리고 조직별 cDNA를 이용하 여 Gm-comp1575 유전자의 특이적 프라이머(5'-CCGGTATT GGTGTCATCGCTCCTA-3', 5'-CGACAGACACGCCCCAG TTTTCAA-3')로 RT-PCR을 진행하였다. 반응조건은 2분간 94℃에서 초기 변성반응 후 35회 증폭반응을 실시하였다. 증폭 반응의 각 주기는 94℃에서 1분, 50℃에서 1분 그리고 72℃에 서 1분의 연속반응으로 구성되었다. RT-qPCR은 SYBR Green Realtime PCR master mixture (Toyobo, Osaka, Japan)를 반응 용액으로 7500 real 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기기를 이용하였다. 반응용액(20 μL) 은 각 프라이머 5 pmol 씩 그리고 50 ng의 주형 cDNA루 구성 되었다. 초기 94℃에서 15분간 활성 반응 이후에 45회 증폭반 응을 실시하였다. 증폭반응의 각 주기는 94℃에서 30초, 50℃ 에서 30초 그리고 72℃에서 1분의 연속반응으로 구성되었다. 매 주기 증폭물의 형광도를 측정하였고, 반응 후 생성물의 융점 을 분석하여 단일 생성물을 확인하였다. 상대 임계증폭주기 횟 수(critical threshold: CT) 방법(Livak and Schmittgen, 2001)을 이용하여 전사체의 상대 량을 산출하였다. 내재하는 항시발현 유전자 대조구로서 라이보좀 단백질 유전자인 RL32 (5'-ATG CCCAACATGGTTACGG-3', 5'-TTCGTTCTCCTGGCTGCG GA-3')의 증폭량을 이용하여 분석될 시료들의 상대 RNA 추출 량을 보정하였다.

    야외 유인력 검정

    안동시 남선면에 소재하는 사과밭에서 RNA 간섭으로 Gmcomp1575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복숭아순나방 처녀암컷의 수컷 유인 능력을 2회(2016년 7월 1-7월 8일, 7월 22일-8월 1 일) 실시되었다. 갓 우화한 암컷 성충을 구형의 찻망(직경 5 cm) 에 설탕물과 함께 넣고, 델타트랩(그린아그로텍, 경산, 한국)에 설치하였다(Fig. 5A 참조). 대조구 암컷은 위에서 기술한 비특 이적 바이러스 dsRNA를 처리한 개체를 이용하였다. 전체 5반 복이 실시되었다.

    결 과

    Gm-comp1575 추정 단백질 특징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의 전사체(Jung and Kim, 2014) 를 토대로 이 곤충의 성페로몬 생합성에 관여하는 불포화효소 가 미리스틱산(myristic acid)의 10번 탄소에서 불포화를 만드 는 Δ10 DES로 추정하였고,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복숭아순나 방 전사체 가운데 Gm-comp1575 유전자 발현체가 이 불포화효 소 서열과 유사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유전 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토대로 기존에 알려진 불포화효소들과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Fig. 1). 성페로몬에 발현되 고 성페로몬 생합성에 관여하는 곤충 불포화효소들은 Δ9 DES, Δ10 DES 그리고 Δ11 DES로 분지하였다. 이 가운데 본 연구에 서 분석하는 Gm-comp1575는 이들 가지에 속하지 않고 단독으 로 분지되었다. 특별히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붙이의 Gd-comp 305와 함께 분지되어 있었다. 이는 Jung and Kim (2014)이 분 석한 분자계통수에서 Δ10 DES와 함께 분지되는 것과는 차이 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Gm-comp1575는 이들 DES 분지들의 관계에서 Δ10 DES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Gm-comp1575의 단백질 구조를 분석하여 이 유전자가 기존 에 알려진 불포화효소 단백질과 유사한 기능 영역을 갖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Fig. 2). Gm-comp1575 단백질의 전체 아미노 산 개수는 370개이고 시그날펩타이드는 추정되지 않았다. 이 를 토대로 추정한 분자량은 약 43.2 kDa 그리고 등전점(pI)은 8.77로 염기성 단백질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Jung and Kim, 2014) 3개의 histidine 보존영역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추가하여 총 4개의 막투과영역을 검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N 말단과 C 말단 부위는 세포 밖으로 위치하는 배열을 추정하였 다. N-glycosylation은 3개가 추정되었고 이 가운데 2개는 N-말 단 세포밖 부위이고, 나머지 하나는 세포내 연결 고리에 위치하 였다. O-glycosylation도 3개가 추정되었고 유사하게 2개는 N 말단 부위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세포내 연결 고리에 자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Gm-comp1575 유전자 발현 양상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 전사체에서 얻어진 Gm-comp1575 유전자가 발육시기와 암컷 성충의 조직 부위에서 어떠한 특이 적 발현을 하는 지를 RT-PCR로 분석하였다(Fig. 3). 이 유전자 는 유충 말기에 발현되기 시작하여 성충시기에 암수 모두 발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3A). 특히 암컷의 경우 머리, 가슴, 배 부위로 나누어 RNA 추출하고 여기서 얻은 cDNA로 발현을 조사한 결과 배 부위에서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B). 복부 내에서 성페로몬 샘과 이 페로몬 샘이 빠진 복부로 나 누어 분석한 결과 두 부위 모두에서 발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Gm-comp1575가 암컷의 성페로몬 샘뿐만 아니 라 다른 복부 조직에서도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m-comp1575 유전자의 RNA 간섭 효과

    Gm-comp1575의 단백질 구조 및 이 유전자의 성페로몬 샘 발현은 이 유전자가 성페로몬 생합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 정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RNA 간섭 기술로 Gm-comp1575 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RNA 간섭을 위해 본 연구는 Gm-comp 1575 유전자의 특이적 dsRNA를 제조하였다. 이를 복숭아순나 방 번데기에 주입하고 시간별로 발현되는 Gm-comp1575의 전 사체량을 RT-qPCR로 정량화하였다(Fig. 4). dsRNA를 주입받 은 복숭아순나방 암컷은 처리 후 24시간이 경과하면서 발현 량 의 감소를 보이고 이 효과는 48시간까지 지속하였다(Fig. 4A). 이 전사체량을 분석하여 보면 약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4B). 반면에 dsRNA 대조구 처리에서는 전사체량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RNA 간섭 조건에서 복숭아순나방의 수컷 유인 능력 을 야외 검증으로 실시되었다(Fig. 5). 갓 우화한 복숭아순나방 암컷을 망사 통에 가두고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델타트랩에 설 치한 후 이를 사과원에서 유인효과를 검증하였다(Fig. 5A). 조 사 시기는 복숭아순나방의 발생이 있는 7월말에 실시되었다. 각 처리는 1주간 포획 수컷 밀도로 산출한 결과 RNA 간섭을 받 은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현격하게(F = 6.34; df = 1,8; P = 0.0359) 낮은 포획능력을 나타냈다(Fig. 5B).

    고 찰

    나비목 곤충 가운데 95% 이상이 휘발성 성페로몬을 이용하 여 교미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Scoble, 1992; Grimaldi and Engel, 2005). 이 가운데 대부분의 나비목 종들이 포함된 이문 나방아목(Ditrysia)은 지방산에서 유래된 성페로몬 성분을 이 용하고 있다(Roelofs, 1995; El-Sayed, 2007). 그러나 성페로몬 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휘발성을 가져야하기에 지방산 의 탄소수가 12-18개로 제약이 되며, 다양한 나비목 종류에 비 춰 성페로몬 신호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상이한 광학이성 체의 이중결합 추가 및 관능기의 분화(알코올, 알데하이드 및 아세테이트)를 보이게 된다(Liénard et al., 2008). 이러한 성페 로몬은 이들 나비목 곤충의 경우 복부 8번째와 9번째 마디 사이 의 표피세포층이 분화된 성페로몬 샘에서 생합성되어 방출되 게 된다(Percy-Cunningham and MacDonald, 1987). 잎말이나 방과(Tortricidae)에 속한 복숭아순나방의 경우도 성페로몬 성 분은 지방산 유도체이고 이 가운데 두 주요 성분인 Z8-12:Ac 와 E8-12:Ac의 상호 비율은 근연종인 복숭아순나방붙이(G. dimorpha)와의 생식적 격리를 유도하는 데 주요하다(Jung et al., 2012). 복숭아순나방의 경우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비해 높 은 cis 비율 혼합체에 유인되었다. 따라서 이 이중결합을 형성 하는 불포화효소의 촉매 능력의 차이가 이 두 종의 종분화에 결 정적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Jung and Kim, 2014).

    지방산 불포화효소는 사슬형 탄화수소에 이중결합을 형성하 는 반응을 촉매하며 이때 이중결합은 위치와 광학이성체에서 특 이성을 갖는다. 이 불포화효소는 분자계통학적으로 상이한 두 부류로 나뉘어 한 형태는 생체막에 결합형과 사슬형 탄화수소 운 반형으로 분류된다(Sperling et al., 2003). 운반형 불포화효소 는 주로 식물체에서 나타나는 형태로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을 올레익산(oleic acid)로 전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Kachroo et al., 2007). 대부분의 불포화효소는 생체막 결합형으로 전형적 인 histidine box 보존서열을 3개 갖는다(Shanklin et al., 1994). 본 연구에서 분석된 Gm-comp1575는 3개의 histidine box 보존 서열을 갖으며, 4개의 생체막 투과영역을 갖는 것으로 아미노 산 서열 분석은 보여주었다. 따라서 Gm-comp1575는 전형적 생체막 결합형 불포화효소로 간주된다. Hashimoto et al. (2008) 은 56 종의 진핵생명체에 존재하는 275개의 불포화효소 아미 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First Desaturase, Omega Desaturase, Front-End Desaturase 및 Sphingolipid Desaturase로 크게 4 종 류로 구분하였다. First Desaturase는 많은 불포화효소를 포함 하고 주로 팔미틱산(palmitic acid) 또는 스테아릭산의 9번 탄 소에서 이중결합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Omega Desaturase 는 이미 이중결합을 갖는 지방산에 12번 또는 15번 탄소에 이 중결합을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ront-End Desaturase는 설정된 이중결합과 카르복실 말단 사이에 이중결합을 추가하 는 기능을 담당하여 주로 4, 5, 6번 탄소에 이중결합을 추가하 게 된다. Sphingolipid Desaturase는 스핑고지질의 불포화효소 이다. 이러한 부류에서 Gm-comp1575가 복숭아순나방 성페로 몬 성분이 갖는 10번 탄소 위치의 이중결합을 형성하는 데 관여 하게 된다면 First Desaturase에 속하게 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분자계통분류 분석에서 Gm-comp1575는 Δ10 DES와 유사하게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성이 기능을 대변하 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 기능 연구는 필요하다.

    Gm-comp1575는 암컷 성페로몬 샘에서 발현되었다. 추가적 으로 종령 유충과 수컷 성충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성페로몬 샘에서 Gm-comp1575가 발현되는 것은 성페로 몬 생합성에 관여할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포화지방산이 이 중결합형성과 관능기 치환반응을 거쳐 성페로몬으로 전환되게 하는 일반적 제1형 페로몬 생합성 경로에서 보듯이(Löfstedt et al., 2016) 이 효소가 미리스틱산을 대상으로 10번 탄소 위치에 서 cis 형의 이중결합을 형성하면 이후에 β-산화를 거쳐 탄소수 는 12개로 줄어든 라우릭산(lauric acid)로 전환되고, 자연히 이 중결합 위치는 8번째로 옮겨지게 된다. 이때 fatty acid reductase 와 acetyl transferase에 의해 아세틸기를 추가하면서 Z8-12:Ac 성분의 성페로몬이 생합성되게 된다. 유사한 Δ10 DES 활성이 두 잎말이나방류인 Ctenoseustis obliquanaPlanotortrix octo 에서 발견되었으며, Z8-14:Ac를 생합성하는 데 관여하였다 (Albre et al., 2012). 그러나 본 연구에서 보인 Gm-comp1575 유전자의 타 조직에서 발현은 이 불포화효소가 성페로몬 생합 성 이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추후 이 유전자의 추가 발현을 통한 지방산 변화 분석을 통한 기능 연구를 실시하여 정확한 반응 특이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Gm-comp1575 유전자의 발현 억제는 복숭아순나방 암컷의 수컷 유인력 감소를 초래하였다. 이 유전자에 특이적인 dsRNA 는 우화하기 직전의 번데기시기에 주입하여 우화한 성충에서 Gm-comp1575의 발현량 감소를 초래하였다. 유사한 잎말이나 방류인 Epiphyas postvittana에서는 유충에 dsRNA를 섭식시 킬 경우 유충 중장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성 충 촉각에서 발현하는 페로몬결합단백질 유전자에 대한 특이 적 dsRNA를 유충에 섭식시켰을 때 성충 시기에 이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보고하였다(Turner et al., 2006). 이러한 결과는 비교적 나비목 곤충에서 RNA 간섭 효과를 기대하기 어 려운 양상(Huvenne and Smagghe, 2010)과는 달리 잎말이나방 류는 dsRNA 처리를 통한 기능 연구가 용이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복숭아순나방을 대상으로 진행한 RNA 간섭 연 구는 야외에서 수컷 유인력을 분석하여 이뤄졌다. 이러한 분석 이 이뤄진 시기가 7월말 경으로 야외 3 세대 성충이 발생되는 시기이다(Kim et al., 2009). 살아있는 암컷 성충을 미끼로 유인 력을 분석한 결과로서 비표적 dsRNA 처리한 대조구의 경우 수 컷을 유인하는 능력을 유지한 반면에 Gm-comp1575에 특이적 dsRNA가 주입된 암컷의 경우는 거의 유인력을 상실하게 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Gm-comp1575 유전자가 수컷을 유인하는 성페로몬 생합성에 관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앞에 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촉매 부위는 추후 기능 연구를 통 해 밝혀질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과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에서 발현되는 불 포화효소인 Gm-comp1575가 암컷 성충으로 하여금 수컷을 유 인하는 데 생리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 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아젠다연구사업(과제번호: PJ011756) 으로 지원되었다.

    KSAE-56-61_F1.gif

    A phylogenetic analysis of Gm-comp1575 along with other known desaturase genes with their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s. The tree was generated by the Neighbor-joining method using the software package MEGA6.0. Bootstrap values (expressed as percentage of 1,500 replications) are shown next to the branches. GenBank accession numbers followed each species: Ctenopseustis obliquana (Co), Helicoverpa assulta (Ha), Heliothis zea (Hz), Grapholita dimorpha (Gd), G. molesta (Gm), Mamestra brassicae (Mb), Ostrinia furnacalis (Of), O. nubilalis (On), O. scapulalis (Os), Planotortrix excessana (Pe), P. notophaea (Pn), P. octo (Po), and Spodoptera littoralis (Sl). ‘Z’ and ‘E’ represent stereoisomers of cis and trans double bonds, respectively.

    KSAE-56-61_F2.gif

    Domain structure of Gm-comp1575. Based on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370 residues), transmembrane domains and glycosylation sites were predicted. Four transmembrane domains are denoted in double layer of phospholipid. Triangles and squares represent N-glycosylation and O-glycosylation sites, respectively.

    KSAE-56-61_F3.gif

    Expression profile of Gm-comp1575 (1575) in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 and tissues (B) of G. molesta. Expression was analyzed by RT-PCR using gene-specific primers with a reference of a constitutively expressed ribosomal gene, RL32. ‘L1-L5’ indicate first to fifth instar larvae. ‘F’ and ‘M’ represent female and male adults, respectively. ‘HD’, ‘TH’, and ‘ABD’ indicate head, thorax and abdomen of female adults. ‘Pg’ and ‘ABDPg’ indicate sex pheromone gland and abdomen deleting Pg, respectively.

    KSAE-56-61_F4.gif

    RNA interference of Gm-comp1575 in female adults of G. molesta. dsRNA (300 ng per individual) was injected to pupa at one day before adult emergence. Ex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by RT-PCR (A) and RT-qPCR (B). A ribosomal gene, RL32, was used for normalization of RNA extracts from different samples because it was regarded as a reference gene that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three times. Different letters above standard deviation ba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ans at Type I error = 0.05 (LSD test).

    KSAE-56-61_F5.gif

    Field assay of RNAi-treated G. molesta females. RNAi was performed by injecting dsRNA (300 ng per individual) to pupa at one day before adult emergence. (A) A delta trap for monitoring male attraction, in which a female was caged in a screen ball with a cotton plug impregnated with 10% sucrose solution. Monitoring was performed for a week per replication. Inset shows a male attracted and fixed on sticky plate. (B) Reduced attraction of females treated with dsRNA specific to Gm-comp1575 compared to control dsRNA.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five times. Different letters above standard deviation ba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ans at Type I error = 0.05 (LSD test).

    Reference

    1. Albre J , Liénard MA , Sirey TM , Schmidt S , Tooman LK , Carraher C , Greenwood DR , Löfstedt C , Newcomb RD (2012) Sex pheromone evolution is associated with differential regulation of the same desaturase gene in two genera of leafroller moths , PLoS Genet, Vol.8 ; pp.e1002489
    2. El-Sayed AM (2007) The pherobase: database of insect pheromones and semiochemicals , [http://www.pherobase.com/],
    3. Grimaldi D , Engel MS (2005) Evolution of the ins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Hallman GJ (2004) Ionizing irradiation quarantine treatment against oriental fruit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in ambient and hypoxic atmosphere , J. Econ. Entomol, Vol.97 ; pp.824-827
    5. Han KS , Jung JK , Choi KH , Lee SW , Boo KS (2001)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ale trapp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Korea , J. Asia Pac. Entomol, Vol.4 ; pp.31-35
    6. Hashimoto K , Yoshizawa AC , Okuda S , Kuma K , Goto S , Kanehisa M (2008) The repertoire of desaturases and elongases reveals fatty acid variations in 56 eukaryotic genomes , J. Lipid Res, Vol.49 ; pp.183-191
    7. Huvenne H , Smagghe G (2010) Mechanisms of dsRNA uptake in insects and potential of RNAi for pest control: a review , J. Insect Physiol, Vol.56 ; pp.227-235
    8. Jung CR , Ahn JJ , Eom HS , Seo JH , Kim Y (2012)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in Korean pear orchards and crosstrapping of its sibling species, Grapholita molesta, to a pheromone lure , Korean J. Appl. Entomol, Vol.51 ; pp.479-484
    9. Jung CR , Kim Y (2014)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sex pheromone glands of two sympatric lepidopteran congener species , Genomics, Vol.103 ; pp.308-315
    10. Kachroo A , Shanklin J , Whittle E , Lapchyk L , Hildebrand D , Kachroo P (2007) The Arabidopsis stearoyl-acyl carrier protein desaturase family and the contribution of leaf isoforms to oleic acid synthesis , Plant Mol. Biol, Vol.63 ; pp.257-271
    11. Kim Y , Bae S , Son Y , Park J (2009) Analysis of miggra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 apple-cultivating areas based on population monitoring using sex pheromone and RAPD molecular marker , Kor. J. Appl. Entomol, Vol.48 ; pp.211-219
    12. Kim Y , Jung S , Kim Y , Lee Y (2011) Real-time monitoring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populations using a remote sensing pheromone trap in apple orchards , J. Asia Pac. Entomol, Vol.14 ; pp.259-262
    13. Knight AL , Barros-Parada W , Bosch D , Escudero-Colomar LA , Fuentes-Contreras E , Hernández-Sánchez J , Jung C , Kim Y , Kovanci OB , Levi A , Lo P , Molinari F , Valls J , Gemeno C (2014) Similar worldwide patterns in the sex pheromone signal and response in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 Bull. Entomol. Res, Vol.105 ; pp.23-31
    14. Liénard MA , Strandh M , Hedenström Johansson T , Löfstedt C (2008) Key biosynthetic gene subfamily recruited for pheromone production prior to the extensive radiation of Lepidoptera , BMC Evol. Biol, Vol.8 ; pp.270
    15. Livak KJ , Schmittgen TD (2001)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ΔΔCT method , Methods, Vol.25 ; pp.402-408
    16. Löfstedt C , Wahlberg N , Millar JG Allison JD , Cardé RT (2016) Evoultionary patterns of pheromone diversity in Lepidoptera , Pheromone communication in moths: evolution, behavior, and appli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pp.43-78
    17. Park B , Kim Y (2010) Transient transcription of a putative Rnase containing BEN domain encoded in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induces an immunosuppression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J. Invertebr. Pathol, Vol.105 ; pp.156-163
    18. Percy-Cunningham JE , MacDonald JA Prestwich GD , Blomquist GJ (1987) Biology and ultrastructure of sex pheromone-producing glands , Pheromone biochemistry, Academic Press, ; pp.27-75
    19. Roelofs WL (1995) Chemistry of sex attraction , Proc. Natl. Acad. Sci. USA, Vol.92 ; pp.44-49
    20. Rothschild GHL , Vickers RA Van der Geest LPS , Evenhuis HH (1991) Biology, ecology and control of oriental fruit moth , Tortricid pests. Vol. 5: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Elsevier, ; pp.389-412
    21. Scoble M (1992) The Lepidoptera: form, function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22. Sperling P , Ternes P , Zank TK , Heinz E (2003) The evolution of desaturases ,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Vol.68 ; pp.73-95
    23. Shanklin J , Whittle E , Fox BG (1994) Eight histidine residues are catalytically essential in a membrane-associated iron enzyme, stearoyl-CoA desaturase, and are conserved in alkane hydroxylase and xylene monooxygenase , Biochemistry, Vol.33 ; pp.12787-12794
    24. Turner CT , Davy MW , MacDiarmid RM , Plummer KM , Birch NP , Newcomb RD (2006) RNA interference in the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induced by double-stranded RNA feeding , Insect Mol. Biol, Vol.15 ; pp.383-391
    25. Yang CY , Jung JK , Han KS , Boo KS , Yiem MS (2002)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onitor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Naju pear orchards , J. Asia Pac. Entomol, Vol.5 ; pp.201-207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