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5 No.2 pp.129-138
DOI : https://doi.org/10.5656/KSAE.2016.04.0.011

Fatty Acid Composition of Different tissues of Spodoptera exigua Larvae and a Role of Cellular Phospholipase A2

Yonggyun Kim*, Seunghee Lee, Seunghwan Seo, Kunwoo Kim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Corresponding author: hosanna@anu.ac.kr
March 3, 2016 April 1, 2016 May 12, 2016

Abstract

Eicosanoids are a group of C20 oxygenat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To monitor biosynthetic precursors of these PUFAs, this study extracted fatty acids from different tissu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and assessed their compositions using GC/MS. Fifth instar larvae were dissected to isolate different tissues of gut, fat body, hemocytes, and integument. From each tissue, total lipids were extracted and fractionated into neut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Most tissues contained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and linolenic acid (18:3). However, their compositions were different among tissues and lipid types. Fat body and hemocytes possessed other type of fatty acids such as myristic acid (14:0) and three unknown fatty acids. Among lipid types, PL contained relatively high levels of linolenic acid than NL and GL, while it had lower saturated fatty acids.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was varied among tissues and lipid types. PL was rich in unsaturated fatty acids in fat body, gut, and hemocytes.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2 (iPLA2) on maintaining fatty acid composition because RNA interference of iPLA2 expression significantly modified fatty acid compositions in NL and PL. However, this study did not detect arachidonic acid, a main eicosanoid biosynthesis precursor, in all tissues. This suggests an alternative biosynthesis of eicosanoids in insects, which is distinct from the biosynthetic pathway of mammals.


파밤나방 유충의 조직별 지방산 구성과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의 역할

김 용균*, 이 승희, 서 승환, 김 건우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초록

아이코사노이드는 탄소수 20 개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산화물로 구성된다. 이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 전구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파 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서로 다른 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을 분리하여 GC/MS로 조성을 분석하였다. 파밤나방 5령 유충에서 소화관, 지방체, 혈구 및 체벽을 분리하고, 각 조직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각각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조직은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그리고 linolenic acid (18:3)를 주요 지방산으로 함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방산의 조성은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지방체와 혈구세포는 이들 주요 지방산 이외에 myristic acid (14:0)와 3 종류의 미동정 지방산들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서로 다른 지질 종류 가운데 인지질은 중성지질이나 당지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linolenic acid를 지닌 반면 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은 낮았다. 전체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도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인지질은 지방체, 혈구 및 소화관에서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 량을 나타냈다.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인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2 (iPLA2)는 지방산 조성을 조절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유전자의 RNA 간섭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의 전구물질로 여겨지는 아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 못했다. 이는 곤충에 있어서 아이코사노이드는 포유동물과는 다른 새로운 생합성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아이코사노이드(eicosanoid)는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산화물 이다. 특별히 탄소수 20 개의 아라키도닉산(arachidonic acid) 을 전구물질로 cyclooxygenase (COX) 또는 lipoxygenase (LOX) 의 산화작용에 의해 prostaglandin (PG)과 leukotrien (LT)의 아 이코사노이드류를 생합성하게 된다. 척추동물은 물론이고 곤 충에 있어서 이들 아이코사노이드류는 곤충의 면역, 배설 및 생 식 생리 작용을 중개한다(Stanley and Kim, 2014). 박각시나방 류인 Manduca sexta의 경우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억제는 세 포성 면역을 억제시켰다(Stanley-Samuelson et al., 1991). 노랑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과정을 억제하면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 반응하는 IMD 체액성 면역 신호전달과정을 교란했다(Yajima et al., 2003).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의 경우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반응을 억 제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PG와 LT를 투여한 결과 세포성 및 체 액성 면역반응이 야기되었다(Shrestha and Kim, 2009). 이러한 면역 반응 이외에 아이코사노이드류는 말피기관의 물질분비 과정을 중개하여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와 불개미류 (Formica polyctena)에서 배설을 촉진시켰다(Petzel and Stanley- Samuelson, 1992; Van Kerkhove et al., 1995). 또한 아이코사 노이드류는 곤충의 체온 조절에도 관여하여 사막 매미류(Tibicen dealbatus)의 기화열 발생을 중개하였다(Toolson et al., 1994). 아울러 아이코사노이드는 생식과정을 중개하여 귀뚜라미류의 산란행동을 촉진시켰다(Stanley-Samuelson and Loher, 1983; Stanley-Samuelson et al., 1986). 따라서 다양한 곤충 생리반응 을 중개하는 아이코사노이드에 대한 교란은 새로운 해충방제 제 개발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Kim, 2014).

    곤충에서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과정을 밝히는 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주력되었다. 하나는 곤충 체내에 존재하는 아이코사노이드류 의 화학구조를 밝히려는 연구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이들 물질 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들과 이들 유전자 구조를 밝히 는 것이다. 멸강나방류(Pseudaletia unipuncta)를 대상으로 혈 림프 시료에서 PGF가 검출되었다(Jurenka et al., 1999). 비감 염 유충의 경우 0.9 ± 0.3 pg/mL의 수준에서 세균에 감염되면 4.0 ± 0.9 pg/mL으로 혈림프 내에 PGF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 다른 PG류로서 귀뚜라미류(Acheta domesticus) 체내에서 PGE2 가 동정되었다(Destephano et al., 1974). 이들 아이코사노이드 를 생합성하는 체내 기구로서 분비성 phospholipase A2 (PLA2) 가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에서 최초로 동정 되었다(Shrestha et al., 2010). 더불어 최근 파밤나방의 혈구세 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성 PLA2가 동정되었다. 이후 유리된 아라키도닉산을 산화시키기 위해 COX 유전자가 파밤나 방에서 동정되었다(Park et al., 2014). 이러한 일련의 연구 과정 속에 아직도 풀리지 않은 의문점은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전구 물질이다. 이러한 이유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에 가장 잘 알려진 전구물질인 아라키도닉산이 곤충에서는 부재하거나 매우 낮은 농 도로 존재하기 때문이다(Howard and Stanley-Samuelson, 1996).

    본 연구는 아이코사노이드 기능과 생합성 과정 모두에서 생 리적 기능이 밝혀진 파밤나방을 모델로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 는 지질류에서 지방산을 분석하여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전 구물질을 추적하였다. 또한 기존에 파밤나방에서 동정된 세포 성 PLA2가 조직의 지방산 조성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도 함께 분석되었다.

    재료 및 방법

    파밤나방 사육 및 조직 분리

    파밤나방은 Shrestha et al. (2010)의 방법으로 사육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공시충은 몸의 크기가 비교적 가장 큰 5령 2-3 일(25℃) 경과 유충을 이용하였다. 혈구세포는 혈림프 시료에 서 얻었다. 유충의 복부 다리를 자른 후 흘러나오는 혈림프를 phenylthiourea가 소량 들어있는 튜브에 받았다. 이를 5,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 후 침전된 혈구세포를 수거하였다. 동일한 유충에서 소화관, 지방체 및 체벽 조직을 인산완충용액 (PBS: 100 mM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에서 해부하 여 각각 수거하였다. 지방산 분석을 위해 각 반복 당 약 150 마 리의 유충이 조직 추출에 이용되었다.

    조직 유래 지질 분리

    파밤나방 5령 유충의 조직 시료량 대비 20 배의 n-hexane과 tert-butyl methyl ether (MTBE) 혼합액(1:1, v/v)을 가하여 20 분 간 초음파 처리(Branson, USA)하면서 2 회 추출하였다.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한 후 잔사에 대해 Folch et al. (1957)의 방 법에 준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 : 메탄올 (2:1, v/v)로 2 회 추출 하였다.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분리를 위해 클로로포름 :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실리카겔 컬럼(5.5 × 40 mm) 크로마토 그래피를 실시하였으며, 활성화시킨 실리카겔(70~230 mesh, Merck)을 충진한 후 용매 극성에 따라 클로로포름, 아세톤, 메 탄올을 순차적으로 용출하여 각각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 을 차례로 분획하였다. 추출 여액 및 각각의 분획물은 40℃ 이 하에서 감압농축하였고 질소로 건고시킨 후 지방산 분석까지 –20℃에 보관하였다.

    유리 지방산 분석

    헥산 추출 및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획득된 지 질을 MIDI 방법(http://www.youngin.com/application/MIDI-2.pdf) 을 통해 유리지방산을 추출 및 메틸화를 실시하였다. 간략하 게, 지질 가수분해 반응용액(45 g sodium hydroxide, 150 mL methanol, 150 mL H2O)을 각 지질 시료에 1 mL 첨가하고 100℃ 에서 30 분간 알칼리분해가 이뤄졌다. 이후 유리된 지방산을 메 틸화하기 위해 메틸화용액(325 mL 6 N HCl, 275 mL methanol) 을 각 시료에 2 mL 첨가하였다. 이후 80℃에서 10 분간 반응시 켰다. 메틸화된 지방산을 분리하기 위해 비극성용매(50 mL 헥 산, 50 mL MTBE)를 각 시료에 1.25 mL 첨가했다.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상층액을 얻었다. 이 상층액을 중화시킨 후 GC/MS 분석에 이용하였다. GC/MS 분석을 위한 컬럼은 SP- 2560 (100 m × 0.25 mm i.d., 0.2 ㎛ film thickness, Supelco Inc., Bellefonte, Pennsylvania, USA)을 장착하였으며, 컬럼 오븐 온 도는 100℃에서 4 분 동안 유지한 후 240℃까지 분당 3℃씩 증 가하여 15 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동상 가스는 헬륨으로 0.8 mL/min, injector 225℃, ion source 200℃, separator 240℃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1 μ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고, split ratio는 20:1의 비율이었다. 분리된 피크는 Supelco사 표준지방 산 methyl ester의 머무름 시간과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피크 면적비로서 지방산 조성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GC에 의해 분리된 피크의 mass spectrum을 GC/MS data system인 MS Chemstation (Hewlett Packard)에 설치된 NIST 및 Wiley library 와의 검색· 비교를 통해 지방산을 동정하였다. 지방산 분석은 독립적으로 3 회 이상 조직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인지질분해효소의 RNA 간섭

    파밤나방 유래 PLA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RNA 간섭 은 Park et al. (2015)의 방법을 따라 double stranded RNA (dsRNA)를 제조하였다. 대조구로서 폴리드나바이러스 유전 자 OF302 (Park and Kim, 2010)에 특이적 dsRNA를 dsCON으 로 이용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dsRNA를 세포내 전달 물질인 Metafectene PRO (Biontex, Plannegg, Germany)와 1:1 (v/v) 으로 혼합하고 25℃에서 30 분간 반응시켜 dsRNA를 포함하는 리포좀을 형성시켰다. 이 리포좀을 5령 1일째되는 파밤나방 유 충 혈강에 26 gauge needle이 부착된 미세주사위(Hamilton, Reno, Nevada, USA)로 마리 당 1 ㎍의 dsRNA를 주입시켰다. dsRNA 처리 후 48 시간이 경과한 후 조직을 추출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살충효과 시험 결과는 백분율 자료로서 arsine 변환 후 SAS의 PROC GLM (SAS Institute, 1989)을 이용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ANOVA를 기초로 평균간 비교는 DUNCAN의 다중검정 방법을 이용하였다. 유의성은 Type I error = 0.05의 기준에서 차이를 구분하였다.

    결 과

    조직별 다양한 지방산 분포

    파밤나방 5령 유충을 대상으로 네 가지 서로 다른 조직에서 지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지질은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 로 분리하였다. 이 세 종류의 지질을 대상으로 포함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네 조직이 가지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는 다 양하였다. 표피조직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Table 1)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검 출되었다. 이 가운데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불포화지방 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지질별로 살펴 보면, 중성지질은 비교적 단순한 지방산 조성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당지질과 인지질은 보다 다양한 지질을 포함하고 있었 으며, 특별히 oleic acid와 linolenic acid에서 이들 지질별로 차 이가 나는 조성을 나타냈다. 불포화지방산 조성 가운데 인지질 의 경우 다른 지질에 비해 oleic acid를 적게 포함하고 있지만, linolenic acid는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방산으로 나타냈다.

    지방체 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Table 2), 표피조직 과 유사한 조성을 나타내지만, 여기에 myrist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또한 미확인된 3 가지 지방산도 검 출되었다. 세 지질 모두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대표적 이나,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중성지질은 oleic acid를 그리고 다 른 지질은 linoleic acid를 우점 지방산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인 지질의 경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를 다른 지질에 비해 적게 갖는 반면, linolenic acid를 다른 지질에 비해 많게는 5 배 가량 많이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당지질과 인지질은 미확인 지 방산 3 종류를 포함했다.

    소화관의 지질별 지방산 조성이 분석되었다(Table 3). 이 조 직에서는 포화지방산으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검출 되었고, 불포화지방산으로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검출되었다. 이 조직에서도 지방체에 서 검출되었던 동일한 두 가지 미확인 지방산 종류가 검출되었 다. 지질별로 살펴보면, 포화지방산의 경우 중성지질과 당지질 은 palmitic acid가 우점하나, 인지질의 경우 stearic acid가 우점 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는 모두 linoleic acid를 우점 지방 산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인지질의 경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를 다른 지질에 비해 적게 갖는 반면, linolenic acid를 다른 지질에 비해 많게 포함하고 있다. 모든 미확인 지방산은 인지질 에서만 검출되었다.

    혈구세포 조직에서 지질이 추출되고 각 지질별 지방산 조성 이 분석되었다(Table 4). 이 조직에서는 포화지방산으로 myristic acid,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검출되었고, 불포화지방산 으로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가 검출되었다. 이 조직에서도 지방체에서 검출되었던 동일한 세 가지 미확인 지방산 종류가 검출되었다. 지질별로 살펴보면, 포화지방산의 경우 palmitic acid가 우점하고 불포화지방산의 경우는 모두 linoleic acid를 우점 지방산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인지질의 경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를 다 른 지질에 비해 적게 갖는 반면, linolenic acid를 다른 지질에 비 해 많게 포함하고 있다.

    조직별 그리고 지질 종류별 지방산 조성 차이에 대해서 유의 성을 검증하였다(Table 5). 모든 조직 및 지질 종류에서 지방산 의 조성은 큰 차이를 나타냈다(변수 ‘FA’에 해당한 변이원, Table 5A). 이들 지방산 조성의 차이는 조직별로 큰 차이를 나 타냈다(변수 ‘Tissue’에 해당한 변이원, Table 5A). 그러나 지 질 종류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변수 ‘LIPID’에 해당한 변이원, Table 5A). 그러나 조직별로 분석하 여 보면 지질별로 큰 차이를 보인 조직이 표피세포라는 것을 알 수 있다(Table 5B).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에 중요한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을 조직별 및 지질별로 산출하였다(Fig. 1). 전체적으로 불포화지 방산은 51-81%의 조성비를 나타냈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은 조직별로 상이하였고(F = 3.89; df = 3, 47; P = 0.0146), 또 지질별로도 상이하였다(F = 5.89; df = 2, 47; P = 0.0052). 또 한 지질별 불포화지방산의 조성 차이는 조직별로도 상이하였 다(F = 8.07; df = 6, 47; P < 0.0001). 따라서 지방체와 소화관에 서는 불포화지방산이 인지질에서 높지만, 표피조직에서는 인 지질에서 가장 낮은 불포화지방산 조성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iPLA2의 역할

    칼슘비의존형 iPLA2가 조직별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고자 이 유전자의 발현을 dsRNA로 억제시킨 후 지방 체와 소화관 조직별 지방산 조성 변화를 추적하였다(Table 6). iPLA2 유전자 발현에 대한 RNA 간섭효과는 Park et al. (2015) 에서 밝혀졌다. iPLA2 유전발현이 억제되는 조건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가 유발되었다. 지방체의 경우 이러한 변화는 중성 지질과 인지질에서 탐지되었다(Table 6A). iPLA2 유전자의 발 현 억제는 주요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조성 증가 및 주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 감소를 일으켰다. 지방산 조성 변화가 소화관 중성지질에서 일어났지 만, 변화의 양상은 달랐다(Table 6B). 지방체와 마찬가지로 포 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조성 증가가 일어났지만, 불포화지방 산의 감소는 oleic acid에서 나타났다. 오히려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다.

    고 찰

    파밤나방의 지방산 조성은 조직 및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 였다. 그러나 대부분은 주요 포화지방산으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를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불포화지방산으로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일반 적인 동물류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판 단된다(Fast, 1971). 특별히 본 연구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된 딱정벌레류(Zophobas atratus)의 경우도 이들 지방산이 여러 발육태 및 서로 다른 지질류에서도 이러한 종류들의 지방산이 주로 검출되었다(Howard and Stanley-Samuelson, 1996). 또한 인지질에서 불포화지방산이 높게 나타나는 것도 유사한 경향 을 나타냈다. 그러나 특별히 차이가 나는 것은 α-linolenic acid (9,12,15-octadeccatrienoic acid)의 함량이다. Z. atratus의 경 우는 지방체에서 linoleic acid가 44.57%이고 linolenic acid가 0.35%인 반면에 파밤나방의 지방체 경우 linoleic acid가 32.6% 이고 linolenic acid가 무려 27.0%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높은 파밤나방의 linolenic acid의 함량은 체벽(37.2%), 소화관(19.5%) 그리고 혈구(32.8%)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 아이코사노이드의 생합성에 직접적 전구물질로 여겨진 아 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 못하였다. 이는 곤충이 지방산 조성에 서 다른 동물과 차이점이 아라키도닉산 부재라는 특징(Bade, 1964)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연구들 에서 곤충 조직에서 직접적으로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이 가 능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박각시나방류인 M. sexta 혈구세포의 microsome 추출물은 아라키도닉산 기질을 변형하여 PGA2, PGE2, PGD2와 PGF를 생산할 수 있었다 (Stanley-Samuelson and Ogg, 1994). 또한 진드기류(Amblyomma americanum)에서는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 효소인 PGH ynthase 의 존재를 보여주었으며, 기내 합성 실험에 이용된 아라키도닉 산 기질로부터 PGA2/PGB2, PGD2, PGE2 및 PGF를 생성하였다 (Pedibhotla et al., 1995). 다시 M. sexta의 지방체는 위와 유사 한 실험 진행에서 PG는 물론이고 5-hydroxyeicosatetraenoic acid의 LT류 아이코사노이드를 생합성하였다(Gadelhak et al., 1995). 이와 더불어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파밤나방에서 동 정된 다양한 PG 생합성 효소 유전자들(PLA2, COX)의 존재는 곤충류가 아라키도닉산을 생합성하여 이를 PG 또는 LT로 생 합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생리작용을 중개할 것으로 보인다.

    아라키도닉산이 없으면서 아이코사노이드를 생합성할 수 있는 곤충은 포유류에서 밝혀진 전형적 아이코사노이드 생합 성과는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로 수서 곤충인 모기 유충 은 아라키도닉산을 생합성하여 인지질에 축적하였다. Dadd and Kleijan (1979)은 집모기류(Culex pipiens)가 성충으로 발 육하는 데 아라키도닉산을 요구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모기의 먹이 가운데 아라키도닉산이 존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는 자 체에서 생합성이 이뤄져야한다는 것을 내포하였다. 또한 모기 의 먹이에 아라키도닉산을 첨가하여 사육한 결과 주입된 아라 키도닉산은 모기 조직의 인지질에 축적되었다(Stanley-Samuelson and Dadd, 1981). 이에 더불어 linoleic acid에서 아라키도닉산 을 합성할 수 있는 간접적 증거가 나왔다. 우선은 동물체에서 합성하지 못하는 linoleic acid가 여러 곤충류에서 가능하였다 (Blomquist et al., 1991). 이를 뒷받침하는 유전적 증거로서 Δ 12 desaturase가 이들 곤충류에서 동정되었다(Cripps et al., 1990). 따라서 linoleic acid에서 사슬연장 및 불포화반응을 통해 C20 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의 경우 α-linolenic acid 를 유충 먹이 첨가할 경우 성충 조직에서 추출된 인지질 성분 에 C20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검출되었다(Stanley-Samuelson and Dadd, 1984). 이러한 아라키도닉산 생합성은 미국바퀴벌 레(Periplaneta americana)와 귀뚜라미류(Acheta domesticus) 에서도 밝혀졌다(Jurenka et al., 1987, 1988). 향후 곤충에서 리 놀레익산에서 아라키도닉산을 합성하는 관련 효소 및 유전자 의 동정이 기대된다.

    조직별 및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한 지방산 조성은 이를 조 절하는 인자의 존재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 자들 가운데 하나로서 칼슘에 비의존적 세포성 PLA2를 주목하 였다. 인지질 분해효소인 PLA2는 척추동물의 경우 다양한 유 전자군을 이루지만,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Burke and Dennis, 2009). 우선 위치에 따라 세포성 PLA2와 분비성 sPLA2로 나뉘 고, 세포성 PLA2는 다시 칼슘의존도에 따라 칼슘의존형 cPLA2 와 비의존형 iPLA2로 구분된다. 특히 iPLA2는 여러 기능에 관 여하지만 척추동물의 경우 주로 생체막에 지방산 조성을 유지 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Balsinde et al., 1997; Barbour et al., 1999). 본 연구는 RNA 간섭으로 이 유전 자의 발현을 억제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중성지질과 인지질에 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크게 낮아지고 포화지방산의 함량 이 높아졌다. 이 iPLA2가 파밤나방의 면역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기에(Park et al., 2015) 이러한 인지질 조성 변화와 더 불어 iPLA2는 여러 다른 생리적 반응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 궁극적 목표는 파밤나방 유충의 여러 조직에서 아이 코사노이드의 전구체 다가불포화지방산을 찾는 데 주력하였 다. 아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는 못하였지만 다량의 다가불포 화지방산들(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이 인지질에 보다 많 이 분포하는 지방산 조성에 특징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외부 미 생물의 침입에 대해서 면역신호는 이들 인지질에 연결된 불포 화지방산을 아라키도닉산으로 전환하여 아이코사노이드 중개 물질을 생합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수산식품기술평 가원의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313006-3).

    Figure

    KSAE-55-129_F1.gif

    Variation in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s among different tissues and lipids of 5th instar larvae of S. exigua. Four tissues are integument (INT), fat body (FB), gut (GUT), and hemocyte (HC). Three different lipids are neu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more than three times. Different letters above standard deviation ba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t Type I error = 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mong means in each lipid type.

    Table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integument of the fifth instar larvae of S. exigua according to lipid types: neu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1‘0’ represents ‘not detected in this assay conditi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fat body of the fifth instar larvae of S. exigua according to lipid types: neu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1‘0’ represents ‘not detected in this assay conditi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gut of the fifth instar larvae of S. exigua according to lipid types: neu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1‘0’ represents ‘not detected in this assay condition’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hemocytes of the fifth instar larvae of S. exigua according to lipid types: neu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1‘0’ represents ‘not detected in this assay condition’

    ANOVA on fatty acid (FA) compositions of four tissues (gut, fat body, hemocyte, and integument) and their three lipid types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of S. exigua larvae. ‘df’, ‘SS’ and ‘MS’ represent ‘degree of freedom’, ‘sum of square’, and ‘mean square’, respectively

    Influence of RNA interference of iPLA2 on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ree lipid types of S. exigua larvae: neut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1‘dsCON’ represents a control dsRNA specific to a viral gene. ‘dsiPLA2’ represents a dsRNA specific to iPLA2 of S. exigua.

    Reference

    1. Bade ML (1964) Biosynthesis of fatty acids in the roach, Eurycotis floridana , J. Insect Physiol, Vol.10 ; pp.333-341
    2. Balsinde J , Balboa MA , Dennis EA (1997) Antisense inhibition of group VI Ca 2+ -independent phospholipase A2 blocks phospholipid remodeling in murine P388D1 macrophages , J. Biol. Chem, Vol.272 ; pp.29317-29321
    3. Barbour SE , Kapur A , Deal CL (1999) Regulation of phosphatidylcholine homeostasis by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2 , Biochim. Biophys. Acta, Vol.1439 ; pp.77-88
    4. Blomquist GJ , Borgeson CE , Vundla M (1991)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eicosanoids in insects , Insect Biochem, Vol.21 ; pp.99-106
    5. Burke JE , Dennis EA (2009) Phospholipase A2 structure/function, mechanism, and signaling , J. Lipid Res, Vol.50 ; pp.5237-5242
    6. Cripps C , Borgeson C , Blomquist GJ , de Renobales M (1990) The ? 12 desaturase from th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Orthoptera: Gryllidae): Characterization and form of substrate , Arch. Biochem. Biophys, Vol.278 ; pp.46-51
    7. Dadd RH , Kleinjan JE (1979) Essential fatty acid for the mosquito Culex pipiens: arachidonic acid , J. Insect Physiol, Vol.25 ; pp.495-502
    8. Destephano DB , Brady UE , Lovins RE (1974) Synthesis of prostaglandin by reproductive tissue of the mal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 Prostaglandins, Vol.6 ; pp.71-79
    9. Fast P (1971) Insect lipids , Prog. Chem. Fats Other Lipids, Vol.11 ; pp.181-242
    10. Folch J , Lees M ,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 J. Biol.Chem, Vol.226 ; pp.497-509
    11. Gadelhak GG , Pedibhotla VK , Stanley-Samuelson DW (1995) Eicosanoid biosynthesis by hemocytes from the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 , Insect Biochem. Mol. Biol, Vol.25 ; pp.743-749
    12. Howard RW , Stanley-Samuelson DW (1996) Fatty acid composition of fat body and Malpighian tubules of the tenebrionid beetle, Zophobas atratus: significance in eicosanoid-mediated physiology , Comp. Biochem. Physiol. B, Vol.115 ; pp.429-437
    13. Jurenka RA , de Renobales M , Blomquist GJ (1987) De novo biosynthesi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 Arch. Biochem. Biophys, Vol.255 ; pp.184-193
    14. Jurenka RA , Stanley-Samuelson DW , Loher W , Blomquist GJ (1988) De novo biosynthesis of arachidonic acid and 5,11,14-eicosatrienoic acid in the cricket Teleogryllus commodus , Biochim. Biophys. Acta, Vol.963 ; pp.21-27
    15. Jurenka RA , Pedibhotla VK , Stanley DW (1999) Prostaglandin production in response to bacterial infection in true armyworm larvae , Arch. Insect Biochem. Physiol, Vol.41 ; pp.225-232
    16. Kim Y Park Y , Chun I , Kim Y , Lim UT , Lim J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vel biopesticides using insect immunosuppression , Horticultural crop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vel technologies, Institute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pp.38-112
    17. Park B , Kim Y (2010) Transient transcription of a putative Rnase containing BEN domain encoded in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induces an immunosuppression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J. Invertebr. Pathol, Vol.105 ; pp.156-163
    18. Park J , Stanley D , Kim Y (2014) Roles of peroxinectin in PGE2-mediated cellular immunity in Spodoptera exigua , PLoS ONE, Vol.9 ; pp. e105717
    19. Park Y , Kumar S , Kanumuri R , Stanley D , Kim Y (2015) A novel calcium-independent cellular PLA2 acts in insect immunity and larval growth , Insect Biochem. Mol. Biol, Vol.66 ; pp.13-23
    20. Pedibhotla VK , Sarath G , Sauer JR , Stanley-Samuelson DW (1995) Prostaglandin biosynthesis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prostaglandin H synthase activity in the lone star tick Amblyomma americanum , Insect Biochem. Mol. Biol, Vol.25 ; pp.1027-1039
    21. Petzel DH , Stanley-Samuelson DW (1992) Inhibition of eicosanoid biosynthesis modulates basal fluid secretion in the Malpighian tubules of the yellow fever mosquito (Aedes aegypti) , J. Insect Physiol, Vol.38 ; pp.1-8
    22. SAS Institute Inc (1989) SAS/STAT user's guide . Cary N.C,
    23. Shrestha S , Kim Y (2009) Various eicosanoids modulate the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73 ; pp.2077-2084
    24. Shrestha S , Park Y , Stanley D , Kim Y (2010) Genes encodingphospholipase A2 mediate insect nodulation reactions to bacterial challenge , J. Insect Physiol, Vol.56 ; pp.324-332
    25. Stanley D , Kim Y (2014) Eicosanoid signaling in insects; from discovery to plant protection , Crit. Rev. Plant Sci, Vol.33 ; pp.20-63
    26. Stanley-Samuelson DW , Dadd RH (1981) Arachidonic acid and other tissue fatty acids of Culex pipiens re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ietary arachidonic acid , J. Insect Physiol, Vol.27 ; pp.571-578
    27. Stanley-Samuelson DW , Dadd RH (1984)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lipids from adult Galleria mellonella reared on diets to which only one unsaturated fatty acid had been added , Insect Biochem, Vol.14 ; pp.321-327
    28. Stanley-Samuelson DW , Loher W (1983) Arachidonic and other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permatophores and spermathecae of Teleogryllus commodus: significance in prostaglandin- mediated reproductive behavior , J. Insect Physiol, Vol.29 ; pp.41-45
    29. Stanley-Samuelson DW , Ogg CL (1994) Prostaglandin biosynthesis by fat body from the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 , Insect Biochem. Mol. Biol, Vol.24 ; pp.481-491
    30. Stanley-Samuelson DW , Jurenka RA , Blomquist GJ , Loher W (1986) De novo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by the Australian field cricket, Teleogryllus commodus , Comp. Biochem. Physiol. C, Vol.85 ; pp.303-307
    31. Stanley-Samuelson DW , Jensen E , Nickerson KW , Tiebel K , Ogg CL , Howard RW (1991) Insect immune response to bacterial infection is mediated by eicosanoids , Proc. Natl. Acad. Sci. USA, Vol.88 ; pp.1064-1068
    32. Toolson EC , Ashby PD , Howard RW , Stanley-Samuelson DW (1994) Eicosanoids mediate control of thermoregulatory sweating in the cicada, Tibicen dealbatus (Insecta: Homoptera) , J. Comp. Physiol. B, Vol.164 ; pp.278-285
    33. Van Kerkhove E , Pirotte P , Petzel DH , Stanley-Samuelson DW (1995) Eicosanoid biosynthesis inhibitors modulate basal fluid secretion rates in the Malpighian tubules of the ant, Formica polyctena , J. Insect Physiol, Vol.41 ; pp.435-441
    34. Yajima M , Takada M , Takahashi N , Kikuchi H , Natori S , Oshima Y , Kurata S (2003) A newly established in vitro culture using transgenic Drosophila reveals functional coupling between the phospholipase A2-generated activation of the immune deficiency (imd) pathway in insect immunity , Biochem. J, Vol.371 ; pp.205-210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