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4 No.2 pp.111-114
DOI : https://doi.org/10.5656/KSAE.2015.03.1.072

Three New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Persimmon Leaf in Korea

Sung Yeon Kim, Jeong-Min Kim1, Miyeon Jang1, Sin Ae Jang1, Chung Gyoo Park1*
Crop Protection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Jeonju 560-500, Korea
1Research Institute of Life Science/ BK21 Plus Progr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daero 501, Jinju 660-701, Korea
Corresponding author: parkcg@gnu.ac.kr
December 11, 2014 March 23, 2015 April 5, 2015

Abstract

We report three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non-astringent persimmon leaf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Hypocala deflorata (Noctuidae), Teliphasa elegans (Pyralidae), and Cuphodes diospyrosella (Gracillariidae). Larvae of these species were collected from an organic farming or abandoned persimmon orchard in Changwon and Jinju cities, Gyeongnam province, and reared for the identification in the laboratory. Some information, such as collection records, hosts, simpl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cology were introduced for each species.


단감 잎을 가해하는 새로운 나방류 해충 3종 보고

김 성연, 김 정민1, 장 미연1, 장 신애1, 박 정규1*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11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 plus)/생명과학연구원

초록

경남 창원과 진주의 농약 무살포 및 유기농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 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푸른빛집명나방, 감잎가는나방(신칭)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한국식물보호학회(Anonymous, 1972)에서 발간된 ‘한국 식 물 병, 해충, 잡초 명감’에는 우리나라의 감 해충(응애를 포함하 여)으로 92종이 등재되어 있으나 실제로 연구가 이루어진 종은 깍지벌레류(Kwon et al., 1995), 감관총채벌레(Shin et al., 2004; Huh et al., 2006), 매미충류(Hwang et al., 2009; Choi et al., 2012), 노린재류(Lee et al., 2002; Jang et al., 2011), 복숭아명 나방(Park et al., 2002; Kang et al., 2004) 및 애기유리나방(Lee and Park, 2003; Yang et al., 2012), 잎말이나방(Kim et al., 2014a, Kim et al., 2014a) 등의 일부 종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한 국 식물 병, 해충, 잡초 명감’에 감 해충으로 수록되어 있는 대부 분의 해충이 실제 과수원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된다. 이에 Lim et al. (2013)은 단감원에서 해충 연구를 하는 중에 발견된 새로운 해충으로 미소나방류 3종을 보고한 바 있다.

    여기에 보고하는 나방류 3종은 경남 창원과 진주의 유기농 재배를 하거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단감 과수원에서 해충상 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단감잎을 가해하는 종이다. 이들 종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감나무의 해충으로 보고된 적이 없다.

    재료 및 방법

    경남 진주시와 창원시의 단감원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 지 단감원의 해충상과 단감해충의 생태를 연구하면서 단감나 무의 잎을 가해하는 나방류 유충이 발견 되는대로 채집하였다. 채집충을 경상대학교 화학생태학 연구실의 사육실(25±3℃, 16L:8D)로 가져와 페트리디쉬(직경 × 높이: 10 × 4 cm, 뚜껑에 직경 4 cm 크기의 환기구, SPL, Korea)에 개체 사육하였다. 페 트리디쉬 바닥에 필터페이퍼를 깔고, 신선한 감나무 잎을 공급 하였는데 잎자루를 물에 적신 솜으로 감싸서 잎의 신선도가 오 래 가도록 해주었다. 매일 충의 발육 상태를 점검하였고 유충 또는 우화한 성충의 모습으로 종을 동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가을뒷노랑밤나방(Hypocala deflorat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Fig. 1. A-C)

    다 자란 유충은 길이가 45 mm에 이르며, 녹색을 띠고 있고 비교적 큰 곤충이다. 머리는 검고 가슴부터 복부 끝마디까지 몸 의 옆 부분에 흑색무늬가 있는 연분홍 줄이 있다. 가슴다리는 흑색이다. 번데기는 길이가 22 mm 정도이고 어두운 갈색이다. 성충의 뒷날개에는 노랑무늬가 있다. 8월과 9월에 감나무의 신 초를 가해한다. 본 조사에서는 2013년 8월 19일과 26일 사이에 11개체의 유충을 채집하였는데, 그 중 10개체가 채집 9-15일 (평균 11.1일)후에 용화하였고, 8개체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번데기 기간 15-22일, 평균 19.0일). 2014년 경남 진주와 전남 순천에서 관찰한 결과 8월 중순부터 신초에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가을뒷노랑밤나방은 인도(Rose, 2002)와 전남 신 안군 압해도의 나방상 연구에서 유아등에 유인되었다는 보고 가 있으며(Lim et al., 2007), Wekipedia 사전에는 인도, 아프리 카, 중국, 호주, 뉴질랜드, 하와이 등에 분포하며 감나무속 (Diospyros)을 섭식한다고 하였다(Wikipedia, 2014).

    푸른빛집명나방(Teliphasa elegans (Butler)) (Lepidoptera: Pyralidae)(Fig. 1. D-F)

    다 자란 유충의 몸길이는 30 mm이고, 몸에 긴 가시털이 많 이 나있고, 등면에는 가슴부터 복부끝까지 황색 줄무늬가 있고 그 양쪽 옆으로 검은 반점들이 길게 배열되어 있다. 몸의 측면 에는 가슴부터 배끝까지 검은 줄이 나 있다. 성충의 날개편 길 이는 30-35 mm이다(Wikipedia, 2014). 감잎의 앞면에서 옅은 그물집을 짓고 잎의 앞면과 뒷면을 오가면서 섭식한다. 본 조사 에서는 2013년 7월 24일과 8월 5, 6일, 2014년 10월 10일에 유 충을 채집하였다. 7월 24일 채집한 유충은 8월 9일에 번데기가 되었고, 8월 25일에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그러나 다른 유충들 은 성충으로 우화시키는 데 실패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 도 복주산(Kim and Jeong, 2010)과 백령도(Park et al., 2014)에 서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한 전 지역과 북한의 금강산 에 기록이 있다고 하며, 국외에서는 대만, 일본, 러시아 극동지 역에 분포한다(Shin, 2001; Wikipedia, 2014). 국내 도감에 밤 나무와 산딸기를 섭식한다고 기록되어 있다(Son, 2010).

    감잎가는나방 (신칭) (Cuphodes diospyrosella Issiki) (Lepidoptera: Gracillariidae)(Fig. 1. G-I)

    다 자란 유충은 길이가 4 mm 정도이고, 머리는 흑색이고 몸 은 녹색이거나 적색이다. 유충이 다 자란 잎의 표피 아래를 굴 을 파고 엽살(엽육)을 먹어 들어가므로 불규칙한 원형의 섭식 흔적이 나타난다. 피해흔은 점차 갈색으로 변하고 오래되면 표 피가 떨어져 나간다. 섭식하면서 굴 속에 똥을 쌓아둔다. 피해 흔의 크기는 길이 12-13 mm, 폭 10 mm 정도이다. 성충은 길이 가 3 mm 정도 되는 연한 갈색의 작은 나방으로서 안테나의 길 이가 몸길이와 같다. 본 조사에서는 2010년 8월 6일에 유충을 채집하였고, 이 유충이 8월 27일에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2013 년에는 7월 30일에 채집한 8마리 중에서 3마리가 8월 4일부터 14일 사이에 우화하였고, 8월 6일에 12마리로부터는 2마리가 8 월 14일과 16일에 우화하였다. 또 8월 27일에 채집한 4마리 중 에서 두 마리가 9월 7일과 8일에 우화하였다. 단감원에서는 7월 경부터 피해가 쉽게 관찰되고 8월과 9월에 피해가 급증한다. 2013년에는 저자들이 실험하는 단감원에서 피해가 매우 심하 였다. 우리나라 아직 보고되지 않는 종으로 생태가 밝혀지지 않 았다. Wikipedia 사전에 감나무속(Diospyros)을 섭식한다는 기 록이 있고(Wikipedia, 2014), 일본의 나라켄(奈良縣)에서는 년 5회 발생하며(Yamaguchi and Otake, 1986), 와카야마켄(和歌 山縣) 에서는 6-10월에 성충이 출현하고 연 4-5회 발생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Kuroko, 1982).

    KSAE-54-111_F1.gif

    Three lepidopteran species feeding non-astringent persimmon leaf. A-C: A larva and adult of and damage of new shoots by Hypocala deflorata (Fabricius). D-F: A larva of Teliphasa elegans (Butler) feeding on persimmon leaf surface, and a female adult (a photo from A. Sasaki). G-I: Larvae of Cuphodes diospyrosella Issiki in leaf mines of persimmon, damage symptom by the larvae, and its adult.

    Reference

    1. Anonymous (1972) A list of plant diseases, insect pests and weeds of Korea, Korean Society of Plant Protection,
    2. Choi DS , Kim DI , Ko SJ , Kang BR , Lee KW , Park JD , Choi KJ (2012) Occurrence ecology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and sel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 Korean J. Appl. Entomol, Vol.51; pp.141-148
    3. Huh W , Huh HS , Yun JE , Son JK , Jang HK , Uhm KB , Park CG (2006) Distribution and seasonal occurrence of Japanese gall-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in Korea , Korean J. Appl. Entomol, Vol.45; pp.59-66
    4. Hwang IC , Lim TH , Lee SJ , Park CG , Choo HY , Lee DW (2009) Report on Zorka sp. (Homoptera: Typhlocybinae) as a pest of persimmon (Diospros kaki) in Korea , Korean J. Appl. Entomol, Vol.48; pp.479-484
    5. Jang SA , Cho JH , Park GM , Choo HY , Park CG (2011) Attraction of Gymnosoma rotundatum (Diptera: Tachinidae) to different amounts of Plautia stali (Hemiptera: Pentatomidae) aggregation pheromone and the effect of different pheromone dispensers , J. Asia-Pacific Entomol, Vol.14; pp.119-121
    6. Kang CH , Lee SM , Chung YJ , Park CG (2004) Overwintering ecology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sis punctiferalis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 Korean J. Appl. Entomol, Vol.43; pp.201-209
    7. Kim DH , Jeong MS (2010) Summer lepidopterous insect fauna of Mt. Bokju (Prov. Gangwon-do) in Korea , J. Korean Nature, Vol.3; pp.223-234
    8. Kim JH , Jang SA , Lee HS , Byun BK , Park CG (2014a) Seasonal occurrence of three Tortricinae moths in southern Korea , Korean J. Appl. Entomol, Vol.53; pp.295-299
    9. Kim JH , Roh HS , Byun BK , Park CG (2014b) A co-attractant, mixture of (Z)-11-tetradecenyl acetate and (Z)-9-dodecenyl acetate, for Neocalyptis angustilineata and Homona magnanima , J. Asia-Pacific Entomol, Vol.17; pp.659-661
    10. Kuroko H (1982) Gracillariidae, In Inoue et al , Moths of Japan Kodansha Tokyo, Vol.I; pp.185-186
    11. Kwon TY , Park SD , Park SD , Choi BS , Kwon YJ (1995) Seasonal occurrence and chemical control effects of Eriococcus largerstroemiae Kuwana on persimmon trees , Korean J. Appl. Entomol, Vol.34; pp.295-299
    12. Lee KC , Kang CH , Lee DW , Lee SM , Park CG , Choo HY (2002)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hemipteran bug pests monitored by mercury light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s in sweet persimmon orchards , Korean J. Appl. Entomol, Vol.41; pp.233-238
    13. Lee KC , Park CG (2003) Seasonal occurrence of smaller clearwing moth, Synanthedon tenuis in sweet persimmon orchards , Korean J. Appl. Entomol, Vol.42; pp.165-167
    14. Lim JT , Kim SY , Kim BW , Choi SW (2007) A faunistic study of moths (Insecta, Lepidoptera) on Is. Aphae-do, Sinan-gun, Jeollanam-do, Korea , Korean J. Environ. Biol, Vol.25; pp.178-189
    15. Lim EG , Choi YJ , Byun BK , Park CG (2013) Three microlepidopterous insects, first reported as pests of the leaf of non-astringent persimmon in Korea , Korean J. Appl. Entomol, Vol.52; pp.129-132
    16. Park CG , Kang CH , Lee KC , Lee DW (2002) Seasonal occurrence pattern of peach pyralid moth, Oichocrosis punctiferalis, in Fuyu persimmon orchards and fruit damage at harvesting time , Korean J. Appl. Entomol, Vol.41; pp.107-112
    17. Park SJ , Lim HM , Kim DS (2014) A survey on insect diversity of Baengnyeongdo, Korea , J. Asia-Pacific Biodiversity, Vol.7; pp.268-280
    18. Rose HS (2002) An inventory of the fauna (Lepidoptera) of Jatinga, Assam, India , Zoos Print J, Vol.17; pp.707-721
    19. Shin YH (2001)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moth of Korea, Academy Book Publ. Co. Ltd, Vol.13; pp.125
    20. Shin WW , Lee HS , Lee KC , Park CG (2004) Seasonal occurrence of Japanese gall-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 and its damage pattern , Korean J. Appl. Entomol, Vol.43; pp.103-109
    21. Son JC (2010) Illustrated color pocket book of insect larvae, Hwang So Gul Um Publ. Co. Ltd, pp.188
    22. (2014) Wikipedia , http://en.wikipedia.org,
    23. Yang CY , Lee HS , Park CG (2012) Sex pheromone of the smaller clearwing moth Synanthedon tenuis (Butler) , J. Chem. Ecol, Vol.38; pp.1159-1162
    24. Yamaguchi A , Otake A (1986) Diseases and invertebrate pests of fruit trees, Zenkoku Noson Kyoiku Kyokai Publishing Co., Ltd,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