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51 No.3 pp.285-293
DOI : https://doi.org/10.5656/KSAE.2012.05.0.033

국내 미국흰불나방의 최근 발생 및 피해 보고

김동언, 길지현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평가연구팀

초록

미국흰불나방은 2011년 국내 35개 시군에서 발생과 피해가 확인되었고, 국내에서는 검은색 머리(black-headed form)를 가진 유충의 출현만 확인되었다. 미국흰불나방이 출현하는 곳의 서식지 분포비율은 가로수 66.7%, 조경수 19.4%, 산림 13.9%로 나타났다. 즉 가로수, 조경수가86.1%로 인위적인 환경에서 피해가 심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기주식물은 총 44과 102종으로 조사되었고,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29종이 추가되었다. 국내에서 최초 발견된 후 약 50년이 지난 현재 선행연구를 포함한 기주식물은 총 62과 219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식량작물 5종(2.3%), 채소류 6종(2.7%), 약용작물 4종(1.8%), 특용작물 1종(0.5%), 과수 13종(5.9%), 기타수원지 6종(2.7%), 기타작물 5종(2.3%)이 포함되어 있다. 기주식물의 원산지는 미국흰불나방의 원산지와 같은 북미 원산 식물 7종(18.4%), 중국 원산 식물 11종(29.0%), 일본 원산 식물 4종(10.5%), 유럽 원산 식물 4종(10.5%), 인도 원산 식물 4종(10.5%) 등으로 조사되었다. 유충에 의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은 수종은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등 총 17종으로 관찰되었다.

A Report on the Occurrence of and Crop Damage Caused by Hyphantria cunea (Drury) with in Korea

Dong Eon Kim, Jihyon Kil
Ecosystem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Received April 24 2012 Revised May 28 2012 Accepted June 27 2012 )

Abstract

Occurrence Hyphantria cunea was confirmed in 35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in 2011, each of which reported someform of crop and/or ecological damage caused by the moth. Only a larva of the black-headed form were reported to have occurred inthe nation. H. cunea was found in street trees 66.7%, followed by landscape trees 19.4% and forests 13.9%. This suggests that artificialenvironment 86.1% suffered from H. cunea more severely than natural forests. The study identified 44 families and 102 species of hostplants, and found an additional 29 species, to those which had been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t present, the identified host plantsof H. cunea are composed of 62 families and 219 species in total since their first appearance was reported approximately 50 years ago.Host plants include 5 species of food crops (2.3%), 6 species of vegetables (2.7%), 4 species of medicinal crops (1.8%), 1 species ofindustrial crops (0.5%), 13 species of fruit trees (5.9%), 6 species of other trees crops (2.7%) as well as a further 5 species of farmed crops(2.3%). Seven species of host plants (18.4%) originate from North America where Hyphantria cunea has been introduced from, while 11species (29.0%) are from China and Japan, Europe and India were the native sources of (10.5%) of the origin with 4 species, respectively.Seventeen species of trees, including Platanus occidentalis L.,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and Cornus officinalis (Siebold& Zucc) were heavily noted to be heavily infected with larval populations.

13(완료)295-297KJAE12-20-홍기정--그림 1번 칼라.pdf617.5KB

 미국흰불나방은 일반명이 Fall webworm이며, 나비목(Lepidop-tera), 불나방과(Arctiidae), 불나방아과(Arctiinae)에 속하는 외래곤충이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캐나다, 멕시코, 헝가리, 일본 등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국내에는 1958년 서울 이태원동에 있는 미군주둔지 부근의 가로수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미군의 화물에 묻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Woo, 1961). 아시아의 유입은 1948년 일본에서 발생하였고,1958년 한국, 1979년 중국 등으로 확산되었다(Warren and Tadic, 1970). 인접국가인 일본과 중국에서는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JME, 2005).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은 기주식물의 범위가 매우 넓은 식엽성 해충으로 미국에서는 200종(Coulson and Witter, 1984), 유럽에서는 헝가리가 103종, 유고슬라비아가 85종, 구소련이 48종이 보고되고 있고(Warren and Tadic, 1970),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300여종 이상이 기주식물로 보고(Masaki and Umeya, 1977)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 미국흰불나방의 기주식물과 피해에 관한 연구는 신도입해충 흰불나방에 관한 연구(Woo, 1961), 미국흰불나방의 생태조사 및 방제시험 (Park et al., 1961)에서 조사가 되었을 뿐 최근의 현황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50년이 지난 현재 새롭게 추가된 기주식물과 주요 피해수종, 피해정도를 분석하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 및 시기

 미국흰불나방의 분포와 기주식물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국에 걸쳐 조사하였고, 조사지에서 발생이 확인된 지역, 피해정도가 심한 지역, 서식 가능성이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조사를 하였다.

조사방법

 가로수와 조경수, 산지를 대상으로 주로 유충에 의해 피해가 확인된 식물을 대상으로 관찰하였다. 현지에서 채집된 기주식물과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을 플라스틱 곤충사육병(∅75×H84 mm), 투명아크릴 곤충사육통(∅150×H73 mm)으로 수거한 후 연구실에서 투명아크릴 곤충사육상자(W250×D250×H250 mm)로 옮겨 현미경(26x-130x Zoom Digital Microscope)으로 각 단계별 발생 과정을 관찰하였다. 식물목록은 원색대한식물도감(Lee, 2003), 한국의 귀화식물(Park, 2009), 작물도감(NAQS, 2005)을 따랐다.

결과 및 고찰

생활사

 유럽의 경우 위도에 따라 붉은색 머리(red-headed form)를 가진 유충과 검은색 머리(black-headed form)를 가진 유충이 나타나는데, 붉은색 머리(red-headed form)를 가진 유충은 주로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검은색 머리(black-headed form)를 가진 유충은 주로 위도 40°이상의 북부지역에 분포한다(Takeda, 2005; Andrei and Paris, 2011). 머리 부분의 색깔에 따라 붉은색 머리(red-headed form)의 유충은 텐트모양의 실을 내어 그 안에서 유충시기를 보내는 반면 검은색 머리(black-headed form)의 유충은 5령 이후부터는 단독생활을 한다(Takeda, 2005). 국내에서는 전국에 걸쳐 검은색 머리(black-headed form)를 가진 유충의 출현만 확인되었다.

 미국흰불나방은 위도와 지역에 따라 연간 세대수의 차이가 나지만 보통 연 2~3회 발생한다. Woo(1961)에 따르면 9월 이후(3화기)에도 발견되었으나 우화하지 못한다고 보고되었다(Kim, 1981, 1982; Woo, 1961). 본 조사에서는 충북, 전북 지역에서 10월에도 3~4령의 유충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지역에 따라 3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나, 추후 기온의 변화와 위도에 따라 1년 동안 발생하는 세대수의 관찰이 필요하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미국흰불나방이 감소와 증가를 반복(Choi et al., 2010)하는 경향을 보이며 온도가 높아지면서 서식할 수 있는 활동시기가 길어지고, 생육과 발육이 빨라져 세대수가 증가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조사지역 및 분포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서울, 인천, 청주, 김제, 전주,익산, 거창, 포항, 대구, 영천, 부산 등 총 35개 시군에서 발생과 피해가 확인되었다. 선행연구(Kim et al., 1967; KFRI, 2008)와 비교하여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2011년 경남, 경북, 전북,충남 일부 지역에서는 분포지역이 확대되었다(Fig. 1).

Fig. 1. The distribution map of H. cunea in Korea.

 미국흰불나방의 유형별 분포비율을 살펴보면 가로수에서 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경수에서 19.4%, 산림에서 13.9%로 조사되었다. 즉 가로수와 조경수에서 86.1%로 나타났다

기주식물

 선행연구에서 Park et al.(1961)에 의한 기주식물은 총 45과 162종, Woo(1961)에 의한 기주식물은 총 30과 64종으로 보고 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기주식물은 총 44과 102종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새롭게 추가된 종은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ehder), 자두나무(Prunus salicina Lindl. var. salicina),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mucronulatum),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Juss.), 갯버들(Salix gracilistyla Miq.),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좀작살나무(Callicarpa dichotoma (Lour.) K.Koch) 등 총 29종으로 조사 되었다(Appendix 1).

 선행연구(Woo, 1961; Pak et al., 1961)를 포함한 미국흰불나방의 기주식물은 총 62과 219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식량작물 5종(2.3%), 채소류 6종(2.7%), 약용작물 4종(1.8%), 특용작물 1종(0.5%), 과수 13종(5.9%), 기타수원지 6종(2.7%), 기타작물 5종(2.3%)으로 나타났다.

 외래식물 목록(NIER, 2010)에 포함되어 있는 외래식물은 토끼풀(Trifolium repens L.),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Medicus)등 6종으로 관찰되었다. 국내가 원산지인 식물은 82.7%, 국외가 원산지인 식물은 17.3%로 나타났다.

 원산지별로는 미국흰불나방과 원산지가 같은 북미 원산 식물 7종(18.4%), 중국 원산 식물 11종(29.0%), 일본 원산 식물 4종(10.5%), 유럽 원산 식물 4종(10.5%), 이탈리아 원산 식물 1종(2.6%), 열대아메리카 원산 식물 3종(7.9%), 열대아시아 원산 식물 1종(2.6%), 인도 원산 식물 4종(10.5%), 동남아시아 원산 식물 1종(2.6%), 서아시아 원산 식물 2종(2.6%)으로 조사되었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2011)의 생태계위해성이 높은 외래종의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Ⅵ) 사업으로 수행한 결과이다

Appendix 1. Host plant of Hyphantria cunea (Drury)

Reference

1.Andrei, S. and T. Paris. 2011.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Insecta: Lepidoptera: Arctiidae: Arctiinae). University of Florida, EENY 486.
2.Choi, W. I., S. H. Go, S. G. Lee and S. C. Sin. 2010. Plant disease and insect forecasting.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40-43.
3.Coulson, R. N. and J. A. Witter. 1984. Forest entomology: ecology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 New York.
4.Jap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List of alien species recognized to be established in Japan or found in the Japanese wild. Available at http://www.env.go. jp/en/nature/as/041110. pdf Accessed 21 Dec. 2010.
5.Kim, C. W., Y. T. No, J. H. Go, J. I. Kim, J. G. Oh and Y. G. Kim. 1967. Biological control of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in Korea. Bull. Inst. Korea Univ. 3: 1-27.
6.Kim, J. B. 1982. The ecological study of Hyphantria cunea. M.A. Dongguk University. 35pp.
7.Kim, O. S. 1981. A study of biological control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Kongju University Journal article 19: 137-150.
8.Kim, O. S. 1983. Studies on the ecology and biological control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in Korea. Ph.D. Dongguk University. 29pp.
9.KFRI. 2008. Annual report of monitoring for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45-48pp.
10.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914pp. Hyangmunsa, Korea.
11.Masaki, S. and K. Umeya. 1977. Adaptation and speciation in the fall webworm. Kodansha Ltd. 13-29pp. Larval life, Tokyo.
12.NAQS. 2005. Illustrated guide to crop plants. 216pp.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korea.
13.NIER. 2010.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I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5-205.
14.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575pp. Ilchokak, korea.
15.Park, S. W., D. Y. Cho and D. S. Lee. 1961. Studies on the morphology, bionomics and natural enemies and chemical control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MIFAFF. 30pp. korea.
16.Takeda M. 2005. Differentiation in life cycle of sympatric populations of two forms of Hyphantria cunea moth in central Missouri. J. Entomol. Sci. 8: 211-218.
17.Warren, L. O. and M. Tadic. 1970.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Arkansas Agric, Exp. Sta. Bull. 759pp.
18.Woo, K. S. 1961. Studies on the Hyphantria cunea (Drury) a newly introduced insect pest. Seoul Nat’l Univ. Bull. Agric. Biol. 5: 11-23.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