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0171(Print)
ISSN : 2287-545X(Onlin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39 No.1 pp.31-41
DOI :

남산과 광릉 침엽수림의 날개응애 군집분석

초록

도시한가운데 위치하여 여러 환경 스트레스에서 시달리고 있는 서울시 소재 남산과 서울 외곽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보존이 잘 이루어진 경기도 포천군 소재 광릉시험림의 침엽수림에서 날개응애를 대상으로 1993년과 1994년 2년에 걸쳐 정량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두 지역의 날개응애 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남산과 광릉 두 지역이 비슷한 기상 조건에 놓여있지만, 날개응애 계절별 밀도 변동은 두 지역간에 일치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1993년과 1994년의 연도간 비교에서는 두 지역에서 봄과 여름의 밀도는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반면, 가을의 밀도는 불안정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패턴들은 강우량과 상관 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종 수와 밀도는 부엽층에서 매우 높았고, 토양층으로 내려갈수록 감소하는 일치된 패턴을 보였으며, 계절적인 패턴의 차는 없었다. 두 지역의 우점종들은 남산에서는 Scheloribates latipes (11.78%), Pergalumna altera (8.92%), Eohypochthonius crassisetiger(7.58), Scheloribates sp.(6.89%), Suctobelbella yezoensis (5.04%)이었고 광릉에서는 Ceratozetes japonicu(25.72), Punctoribates punctum(14.15%), Trichogalumna nipponica(10.96), Ramusella sengbuschi(5.08%)로 나타났다. 그리고, 출현빈도가 50%가 넘는 절대종과 상시종의 수는 남산이 10종인 반면, 광릉에서 18종으로, 광릉에서 훨씬 높았고, 적은 종수를 가진 남산을 도시림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종 다양도 분석결과, 종 풍부도는 광릉이 남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5), 새논 지수(H`)는 평균적으로 남산이 2.83, 광릉이 2.62로 나타나 남산이 광릉에 비해 조금 높았고, 균등도 지수(J`)는 남산이 광릉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두 지역간의 날개응애 유사도는 전체 종들을 기준으로 0.68로 나타났다.

Community Analysis of Oribatid Mites (Acari: Oribatida) in Namsan and Kwangreung Coniferous Forests

박홍현, 이준호

Abstract

Community analysis of oribatid mites was conducted in Namsan and Kwangreung coniferous forests which have been received by different degrees of environmental pressures through urbanization processes. Oribatid mites were sampled in the litter and soil layer of study sites from May 1993 to October 1994. Although two sites have been under similar weather condition, seasonal changes in oribatid mites density did not show a synchronized pattern. Density in spring and summer showed stable pattern with low fluctuations, but unstable pattern in autumn between 1993 and 1994. And these pattern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recipitation. The density and species number were higher in the litter layer than in the soil layer and showed no typical seasonal changes. The dominant species were Scheloribates latipes (1 l.78%), Pergalumna altera (8.92%), Eohypochthonius crassisetiger (7.58%), Scheloribates sp. (6.89%) and Suctobelbella yezoensis (5.04%) in Namsan, and Ceratozetes japonicus (25.72%), Punctoribates punctum (14.15%), Trichogalumna nipponica (10.96%) and Ramusella sengbuschi (5.08%) in Kwangreung. The number of species with high constany were 10 and 18 in Namsan and Kwangreung, respectively. Namsan showed the feature of urban forests. In analysis of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wangreung than in Namsan, while shannon (H`) and evenness index (J`) were higher in Namsan than in Kwangreung. The values of shannon index (H`) in Namsan and Kwangreugn were 2.83 and 2.62, respectively and evenness index (J`) were 0.78 and 0.67, respectively. The value of similarity index between two sites was 0.68.

Reference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Appl. Entom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5656/KSAE
Year of Launching 1962
Publisher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